시는 27일 시청 본관 2층 대회의실에서 ‘2025년 제1회 울산시 방폭안전관리위원회’를 열고, 울산연구원이 수행한 ‘울산시 방폭안전관리계획 수립 용역’ 최종보고를 받은 뒤 심의를 거쳐 오는 2026년부터 2030년까지 적용될 제1차 방폭안전관리계획을 확정했다고 밝혔다.
회의에는 위원장인 안승대 행정부시장을 비롯해 방폭안전관리위원 13명이 참석했다.
방폭안전관리계획은 지난 2023년 12월 제정된 ‘울산시 방폭안전관리 지원 조례’에 근거해 5년마다 수립해야 하는 중장기 계획이다. 산업도시 울산의 특수용 안전환경을 고려한 맞춤형 안전대책을 담았다. 시는 지난해 6월 울산연구원에 용역을 의뢰해 약 14개월 동안 연구를 진행했으며, 이번 위원회 심의를 거쳐 전국에서 처음으로 계획을 확정했다.
이번 방폭안전관리계획은 △방폭 인식 제고와 실무역량 강화 기반 구축 △방폭설비 안전 확보 및 관리체계 구축을 큰 목표로 삼았다.
이를 실행하기 위해 4대 전략과 9대 세부 추진과제를 마련했다.
시는 이들 사업을 오는 2030년까지 단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총 113억원을 투입한다. 단순한 계획 수립에 그치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활용할 수 있는 방폭 교육·컨설팅, 설비 관리, 평가 체계를 마련해 국제 표준에 부합하는 안전관리 체계를 구축하겠다는 방침이다.
안승대 행정부시장은 “방폭안전관리계획은 산업단지 안전 확보와 중대재해 예방, 안전문화 확산을 위한 핵심 정책축이 될 것”이라며 “위험구역을 선제적으로 관리하고 안전한 산업현장을 조성해 시민이 안심할 수 있는 생활환경을 만들겠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