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시가 지난달 29일 울산 미포국가산업단지에서 ‘SK AI 데이터센터 울산 기공식 및 AI 수도 선포식’을 개최하고, 전통 제조도시에서 글로벌 AI 허브로 도약하겠다는 비전을 공식 선언했다.
이날 행사에는 김두겸 울산시장과 최창원 SK수펙스추구협의회 의장을 비롯해 아마존웹서비스(AWS) 관계자, 지역 주요 인사 등이 참석해 울산의 새로운 출발을 함께했다.
시는 선언문을 통해 △AI 기반 자율 제조와 스마트 혁신 산업 선도 △산업·연구 현장 중심 혁신형 인재 양성 △대기업·중소기업·스타트업이 함께 성장하는 산업 생태계 조성 △세계적 제조·산업 AI 표준 도시 도약을 다짐했다.
김두겸 시장은 선포식에서 “세계 최대 수준의 AI 데이터센터 착공은 단순한 인프라 구축을 넘어 제조·물류·에너지·해양 등 울산 주력산업 전반에 AI를 접목해 산업 전환과 혁신을 가속하는 출발점”이라며 “풍부한 산업 데이터와 세계 최고 수준의 데이터센터를 연계해 울산형 소버린 AI 인프라를 마련하겠다”고 강조했다.
또 김 시장은 “산업 현장과 연구기관에서는 혁신형 AI 인재를, 초등학교부터 대학원까지 이어지는 교육체계에서는 AI 미래 인재를 양성해 지역과 세계를 잇는 인재허브로 성장시키겠다”고 밝혔다.
시는 ‘SK AI 데이터센터 울산’을 거점으로 울산 주력산업의 디지털 전환을 가속하고, 이를 기반으로 청년과 미래세대가 꿈을 키울 수 있는 AI 생태계를 구축한다는 계획이다.
앞으로 시는 AI 데이터센터와 연계해 ‘AI 자율제조 검증센터’ ‘AI 기반 조선해양공정 자동화 및 실증 거점센터’ 등 신규 프로젝트를 추진한다.
이를 통해 자동차·조선·석유화학·이차전지 등 주력산업 전반에 AI와 로봇 기술을 접목, 지능형 조선·스마트 자동차 공장·친환경 플랜트로의 전환을 앞당길 계획이다.
또 AI 전문 인재 양성과 스타트업 육성, 대기업-중소기업 협력 생태계 구축을 병행해 산업 전반의 혁신 체계를 강화한다.
시는 이 과정을 ‘울산의 미래 50년’을 준비하는 출발점으로 규정하며, 향후 1GW급 확장을 목표로 한 SK AI 데이터센터 투자와 인허가도 적극 지원한다는 방침이다.
시는 AI 데이터센터와 소버린 AI 인프라가 완공되면, 울산을 거점으로 한 AI 기반 서비스가 전국 산업 현장에 확산돼 국가 경쟁력 강화에 크게 기여할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동시에 전통 산업과 첨단 산업이 융합된 세계적 수준의 산업 도시로 성장할 수 있는 발판이 될 것이라고 기대했다.
김두겸 울산시장은 “울산이 AI 산업의 핵심 거점으로 도약하는 것은 SK와 AWS의 결단과 협력이 있었기에 가능했다”며 “기업·정부·시민이 힘을 합쳐 울산을 글로벌 AI 허브로 키워내겠다. 울산의 도전은 곧 대한민국의 도전”이라고 강조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