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가동
상태바
여야 민생경제협의체 가동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5.09.18 00:01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거대 양당인 더불어민주당과 국민의힘이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한 데 이어 6·3 대선 당시 공통 공약과 입법 문제를 집증 논의하기로 합의했다. ‘3+3 민생경제협의체’는 오는 19일 첫 회동을 갖는다.

17일 정치권에 따르면 민주당과 국민의힘은 각각 정책위의장·원내수석·정책위수석이 참여하는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해 민생 현안을 논의하기로 했다.

민주당에서는 한정애 정책위의장·최기상 정책위 사회수석부의장·허영 원내정책수석부대표, 국민의힘에서는 김도읍 정책위의장·박수영 정책위 수석부의장·김은혜 원내정책수석부대표가 각각 참석한다.

이는 지난 8일 이재명 대통령의 여야 지도부 초청 오찬에서 정청래 민주당 대표와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가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기로 합의한 데 따른 것이다. 협의체를 통해 여야가 대선 당시 공통 공약과 입법 문제를 함께 논의하면서 협치를 꾀한다는 의미가 담겨 있다.

여야는 원내대표를 포함한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운영하자고 의견을 모으는 과정에서 최종적으로 원내대표를 제외했다.

이를 두고 정치권에선 국민의힘 송언석 원내대표가 지난 9일 민주당 정청래 대표의 국회 교섭단체 대표연설 도중 한 발언이 영향을 줬을 것이란 분석이 제기된다.

당시 정 대표가 “노상원 수첩이 현실로 성공했더라면 이재명 대통령도, 저도 이 세상 사람이 아니었을 것”이라고 말하자 국민의힘 의석 쪽에서 ‘제발 그리됐으면 좋았을걸’이라는 말이 흘러나왔는데, 이 발언 당사자가 송 원내대표로 지목됐다.

송 원내대표는 이날 “본의 아니게 그런 일이 발생한 것은 유감”이라고 입장을 표했다.

민주당은 이 발언을 심각한 문제로 보고 국회 윤리위 제소 방침까지 세웠다. 송 원내대표가 참여하는 민생경제협의체는 파행 우려가 크다는 게 민주당의 입장이다.

민주당 문진석 원내운영수석은 이날 “실무적인 일을 진행해야 하는데 원내대표가 합류하면 정치적인 일로 비화할 소지가 있어 정책위의장 선에서 실무 논의를 하는 게 더 효율성이 있을 것으로 본다”고 했다.

그러면서 ‘송 원내대표의 노상원 수첩 관련 발언 영향이냐’는 취재진의 질문에 “사과를 요구했는데 사과하지 않는 분과 마주한다는 것도 어려운 일”이라고 했다.

송 원내대표는 국회에서 취재진과 만나 “지난주 여야 원내대표 간 3대 특검법과 정부조직법 관련한 합의를 할 당시 원내대표·정책위의장·정책수석 등 양당 3명씩 ‘3+3 민생경제협의체’를 구성하자고 잠정 합의했었다. 이후 민주당 측에서 원내대표는 빠지는 게 좋겠다고 해서 우리도 동의했다”고 말했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퇴직했는데…2019년 월급이 또 들어왔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