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미 정상회담을 계기로 미국이 원자력 추진 잠수함 핵연료 공급 요청을 수용함에 따라 원자력 추진 잠수함 선도함 진수에 가속도가 붙은 셈이다.
4일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 따르면 국방부 원종대 자원관리실장은 이날 서울 용산 대통령실에서 이재명 대통령 주재로 열린 국무회의에서 “원자력 추진 잠수함(원잠) 건조에서 가장 핵심 난제였던 연료 확보에 관한 한미 간 협의가 진전돼 사업이 본격 추진될 여건이 마련됐다”고 보고했다.
원 실장은 “현재 원잠에 탑재될 원자로, 무장체계 등 원잠 건조에 필요한 핵심기술을 확보중이고 안전성 검증을 진행 중이다. 재래식 잠수함에 있어선 세계적 수준의 설계·건조 능력을 이미 보유했다”고 했다. 또한 “이에 더해 지금까지 확보한 핵심 기술과 국가 역량을 결집하면 우리 기술로 원잠 건조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미국 측과 협의를 통해 원잠용 연료를 확보하고 2020년대 후반 건조 단계에 진입한다면 2030년대 중·후반엔 선도함 진수가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고 관측했다.
한편, 이날 한미 국방부 장관은 용산 국방부 청사에서 열린 제57차 한미안보협의회(SCM)에서 한국의 핵추진 잠수함 도입과 전시작전통제권 전환 등 한미동맹 현안을 논의했다.
특히, 안규백 국방부 장관과 피트 헤그세스 미국 국방부 장관은 지난달 29일 경주에서 열린 한미 정상회담에서 논의된 핵잠수함 도입과 관련해 긴밀히 협력하기로 했다.
헤그세스 장관은 한국의 핵잠수함 도입 관련 질문에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승인한 것을 다시 한번 확인해 드린다”며 “군 당국에선 최선을 다해 적극 지원할 것”이라고 답했다. 김두수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