경총-11개 협회, 정부에 건의문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급등으로
탄소배출량 할당받은 기업 부담
“기타용도 예비분 재분배해주길”
산업계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한 기업의 경영난을 고려해 온실가스 배출권 구매 부담을 낮춰달라고 정부에 건의하고 나섰다.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 급등으로
탄소배출량 할당받은 기업 부담
“기타용도 예비분 재분배해주길”
산업계 핵심 현안 중 하나인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은 2015년 최초 상장 이후 지금까지 3.6배 상승해 온실가스를 감축 할당량 이상 배출하는 철강과 화학, 발전 등 에너지 다소비 기업의 비용 부담이 커지고 있다.
한국경영자총협회(경총)과 철강·석유화학·시멘트·자동차·반도체 등 11개 주요 업종별 협회는 이 같은 내용의 건의문을 지난 22일 기획재정부와 환경부, 산업통상자원부에 제출했다고 23일 밝혔다.
경총과 11개 협회는 건의문에서 “온실가스 배출권 가격은 제도 시행 초기 대비 약 252% 수준으로 상승하고, 지속적인 배출권 수급 불균형으로 향후에도 배출권 가격이 상승할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배출권 거래제 기간 설비를 신·증설한 업체에 추가 배출권을 할당하기 위해 마련해 놓은 기타용도 예비분의 잔여 물량을 기존 할당 업체에 재분배해 달라”고 건의했다.
온실가스 배출권은 2015년 2월부터 한국거래소를 통해 상장돼 개장 첫날 8640원을 기록한 이후 23일 현재 가격이 t당 3만1100원으로 5년만에 3.6배나 상승했다.
배출권 가격 급등으로 탄소배출량을 할당받은 기업들의 고심이 깊어지고 있다. 울산지역에서 온실가스 배출량을 할당받아 감축에 들어간 곳은 65개 기업(기관)에 92개 단위사업장에 달한다.
온실가스 배출량이 많아 할당량을 많이 배정받은 발전업계와 석유화학업계 등은 모자라는 탄소배출권을 시장에서 구입, 충당해야 하지만, 배출권 가격이 급등해 기업들의 부담이 갈수록 커지고 있다.
산업계는 “제2차 배출권 거래제 계획 기간(2018~2020년)에는 2000만t 이상의 기타용도 예비분이 남을 것으로 추정된다”며 “11개 주요 업종의 요청대로 이 예비분을 재분배한다면 코로나로 한계상황에 직면한 주요 업종에 숨통이 트일 것”이라고 주장했다.
산업계는 “제1차 배출권 거래제 계획 기간(2015~2017년) 예비분 2373만t 중 잔여 물량 448만t(약 954억원 상당)을 할당위원회에서 할당 업체와 충분한 협의 과정 없이 전부 폐기했다”고 지적했다.
산업계는 배출권 시장 안정화 용도 예비분의 조기공급으로 시장 유동성을 확보하는 한편 배출권거래제 유상할당에 따른 정부 수입을 기업의 재정·기술 지원에 활용하고 무상할당 업종의 선정 기준을 현행대로 유지할 것 등을 건의했다.
산업계는 “정부와 산업계는 코로나로 심각한 경제적 위기에 직면한 상황에서 온실가스 감축이라는 국민적 요구와 기업 경쟁력 유지라는 쉽지 않은 문제에 대해 합리적인 균형점을 찾아야 한다”며 “기업이 현 위기 국면에 능동적으로 대응하고 글로벌 경쟁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건의문을 적극적으로 검토해달라”고 요청했다.
산업계는 올해 발표 예정인 ‘제3차 계획 기간 온실가스 배출권 할당계획’은 산업계와의 충분한 소통을 통해 수립돼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