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역민 안전·국토 훼손 연계
중장기적 대응책 마련 시급
울산지역 연안침식이 심상찮게 전개되는 모습이다.중장기적 대응책 마련 시급
침식등급에서 C 등급(우려)과 D 등급(심각)이 차지하는 비율을 나타내는 ‘침식우심률’이 전국 주요연안 가운데 울산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지자체와 항만당국간 체계적 연안관리 방안 구축이 시급하다는 지적이다.
6일 국회 농림축산식품해양수산위원회 소속 어기구 의원이 해양수산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전국연안 침식 현황’에 따르면 연안침식 모니터링이 이뤄지는 250개 지역에서 침식등급 C등급(우려), D등급(심각) 비율인 침식우심률은 2015년 59.6%에서 지난해 61.2%로 1.6%p 증가했다.
지역별로는 울산의 침식우심률이 8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난해 기준 울산의 경우 B등급 1개소, C등급 4개소 등 총 5개다. C등급은 정자, 주전, 진하, 나사 연안이다. 가장 심각한 D등급이 많은 곳은 강원도(8개소)다. 연안침식은 해수면의 상승과 같은 자연적 요인과 연안지역에서의 개발과 같은 인위적 요인 등으로 발생하는데, 연안침식 문제는 국토의 훼손, 지역주민의 안전 등과 연결되어 있어 중장기 대응방안 마련이 시급한 상황이다.
어기구 의원은 “연안침식 문제는 해수면 상승 등의 자연적 요인도 있지만, 연안에서 일어나는 각종 개발행위에 의해서도 발생되고 있어 이를 해결하는데 해수부만의 노력으로는 역부족”이라며 “연안침식에 대응하는 행안부, 국토부, 산림청 등 타 부처, 침식지역을 관리하는 지자체와의 협력체계 구축 등이 필요하다”고 주장했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