실증 성공땐 상용화 초석 기대
울산 규제자유특구에서 국내 최초로 수소를 연료로 사용하는 지게차, 무인운반차 등 산업용 기계 실증사업이 본격화된다.
중소벤처기업부와 울산시는 국내 최초초 수소연료전지를 동력으로 사용하는 지게차·무인운반차 등의 실내 물류 운반기계 상용화를 위한 실증에 본격적으로 착수한다고 15일 밝혔다.
전국 최대의 수소 생산·유통도시(약 50%, 연간 82만t)인 울산은 지난 2019년 11월 규제자유특구(수소그린모빌리티)로 지정돼 실증착수를 위한 사전준비와 수소연료전지파워팩 등의 기술개발에 매진해 왔다.
이번 실증은 물류창고나 일반 실내작업장에서 활용되는 실내 물류 운반기계의 에너지원을 기존 전기에서 수소로 대체하는 것으로, 수소연료 지게차, 수소연료 무인운반차, 이동식 수소충전소 구축 실증 등 3개 사업으로 구성돼 있다.
그간 실내 물류 운반기계는 전기 충전 방식으로 운행돼 왔으나 긴 충전 시간에 비해 운행 시간은 짧아 생산성은 떨어지고 운반기계도 추가로 확보해야 하는 부담이 있었다. 이 때문에 수소연료전지 실내 물류 운반기계에 대한 관심이 높아졌지만, 산업안전보건법상의 안전에 관한 인증기준이 마련돼 있지 않아 제작과 산업현장 투입이 불가능한 상태였다.
울산 규제자유특구는 이를 개선하기 위해 특례를 부여받아 실내 물류 운반기계의 제작을 마치고 운행 실증에 들어간다.
이번 실증이 성공하면 지게차의 충전시간은 기존 8시간에서 5분으로 대폭 단축되고, 무인운반차의 운행시간도 기존 2시간에서 6시간으로 3배 가량 확대돼 생산성 향상과 상용화에 초석이 다져질 것으로 기대를 모으고 있다. 실증은 수소연료전지 실내물류운반기계(지게차 4대, 무인운반차 1대)를 실제 작업환경에서 운행하는 형태로 진행되며, 운행을 통해 확보된 데이터를 통해 안전성 검증과 인증에 필요한 세부기준이 마련되게 된다.
중기부 관계자는 “실증의 성과가 제도개선과 사업화로 이어지고 전국 최대의 수소 생산 인프라를 보유한 울산이 규제자유특구를 통해 수소산업 물류거점으로 거듭날 수 있도록 적극 지원하겠다”고 밝혔다.
이형중기자 leehj@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