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40년까지 석유화학 비중 30%로 확대”
상태바
“2040년까지 석유화학 비중 30%로 확대”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1.03.22 21: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15회 울산 화학의날 기념식…‘세계 5대 바이오화학 중심도시’ 비전 제시

시·34개 유관기관 공동선언문

5대 육성 프로젝트 설정·추진

제조기술 발표…유공자 표창
▲ 22일 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에서 열린 제15회 울산 화학의 날 기념식에서 송철호 울산시장과 박병석 울산시의회의장,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장, 유관기관 및 화학업계 대표들이 울산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공동선언 구호를 하고 있다. 김동수기자 dskim@ksilbo.co.kr
국내 석유화학산업의 허브인 울산이 저탄소·친환경 패러다임에 맞춰 바이오화학 분야를 적극 육성해 ‘세계 5대 바이오화학 산업 중심도시’로 비상을 꿈꾼다. 오는 2040년까지 석유화학 비중을 30%까지 확대하고 울산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5대 프로젝트를 대대적으로 추진한다.

울산시와 화학 관련 기관·기업들이 22일 ‘제15회 울산 화학의 날’ 기념식에 이같은 울산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공동선언문을 채택하고 비전을 제시했다.

시는 이날 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에서 송철호 시장, 이미혜 한국화학연구원장, 산업부 관계자, 시의원, 유관기관·화학 업계 관계자 등 100여 명이 참석한 가운데 기념식을 열었다.

한국화학연구원이 주관한 이날 행사에서 시와 34개 바이오화학 유관 기관·기업 등은 공동선언문을 통해 세계 화학산업 선도, 바이오화학 산업 우위 선점, 글로벌 산업 경쟁력 확보, 핵심기술을 조기 개발과 확보, 혁신 제품 개발과 적용 확산 등 6개 항목에 대한 협력을 약속했다.

또, ‘세계 5대 바이오화학 산업 중심도시로 도약’을 비전으로, 2040년까지 석유화학 비중의 30% 매출 달성을 목표로 추진하기로 했다.

이를 위해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 5대 프로젝트를 설정했다. 5대 프로젝트는 수요 맞춤형 생분해성 바이오 플라스틱 제품화 및 실증, 폐플라스틱 업사이클링(up-cycling) 및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기술 개발, 바이오화학 소재 공인인증센터 구축 등이다. 고기능성 융복합 화학소재 지원센터 구축, 인실리코(in sillico, 컴퓨터 시뮬레이션을 이용해 가상환경에서 하는 바이오·화학 실험법) 인공지능 기반 바이오 유래 촉매 엔지니어링 센터 구축 사업 등도 포함한다.

이날 행사에는 김용환 울산과학기술원(UNIST) 교수가 폐플라스틱을 열화학 공정을 이용해 분해한 뒤 생물공정을 이용해 고부가가치 물질로 전환하는 제조 기술에 대해 발표했다. 황성연 바이오화학실용화센터장과 제갈종건 연구위원은 폐비닐 처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비닐봉지용 고강도 생분해성 플라스틱 제조기술과 바이오화학 소재 공인인증센터 구축에 관해 설명했다.

화학산업 발전 공로로 이현태 (주)덕양 회장 등 8명이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표창을, 이종화 애경유화(주) 울산공장장 등 8명이 울산시장 표창을 받았다.

송철호 시장은 “기존 석유 기반 소재에서 최근 저탄소·친환경 소재로 바뀌는 패러다임 전환 속에서 한국화학연구원, 울산테크노파크 등 유관기관과 협력해 향후 미래 산업인 친환경 바이오화학 산업 육성을 위해 적극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울산 화학의 날은 1968년 3월 22일 울산석유화학공업단지 기공식을 기념해 제정됐으며 2007년 제1회 기념식이 열렸다. 이형중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