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제유가 폭락 저가경쟁 심화
철거·융복합 스테이션 전환때
정부 지원 필요성 목소리 높여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장기화와 친환경차 확산으로 주유소 업계가 어려움을 겪는 가운데 지난해 울산에서 14개의 주유소가 휴·폐업한 것으로 나타났다. 경영악화로 문을 닫으려해도 억대의 폐업비용 때문에 사업을 접지 못하고 장기 휴업하는 상황까지 직면해 업계의 고심이 깊어지는 분위기다.
한국주유소협회 울산시지회에 따르면 12일 기준 울산지역 주유소는 244개로 지난 1년간 10곳이 휴업, 4곳이 폐업했다. 주유소 감소 추세는 지난 10년간 지속되고 있다. 지역내 주유소 수는 지난 2010년 293개로 정점을 찍은 이후 하향 곡선을 그리며 2021년 244개(휴업 포함)까지 내려왔다.
특히 지난해에는 신종코로나 확산 방지를 위한 사회적 거리 두기 영향으로 차량 운행이 줄면서 수송용 석유 소비가 전년 대비 9.6% 감소하는 등 타격이 더 컸다.
여기에다 국제유가가 폭락하면서 저가 경쟁이 심화돼 영업이익률은 더 하락했다. 주유소의 매출이익률은 정유사 공급가격 대비 주유소 판매가격인데 카드수수료 1.5%를 빼면 3.7%로 떨어지고, 임대료와 인건비 등 판매관리비를 제한 영업이익률은 평균 1% 안팎이라는 게 한국주유소협회의 설명이다.
그러나 업계는 중장기적으로 주유소 경영난이 가중될 것으로 전망한다. 이미 과당경쟁으로 수익성이 나빠진데다, 전기차·수소차 등 정부의 친환경차 확대 정책으로 기름만 팔아서는 살아남기 어렵다는 것이다. 업계는 주유소 경영난이 정부의 에너지전환 정책과 관련된 만큼, 기존 주유소를 융복합 스테이션으로 전환하거나 폐업 주유소를 철거할 때 정부 지원이 필요하다고 주장하고 있다.
실제로 현재 울산지역 휴업상태인 주유소 중 5곳은 장기 휴업으로 방치돼 ‘흉물’ 주유소가 되고 있다.
주유소를 폐업하려면 토양 오염을 정화해야 하므로 1억원에서 많게는 2억원 가량의 폐업 비용이 드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장사가 안돼도 사업을 접지 못하고, 휴업을 택하는 경우가 많다. 영업하지 않고 장기간 방치되는 ‘흉물’ 주유소가 늘어나는 원인이다.
업계 관계자는 “울산에서도 주유소 간판만 세워져 있고 장기간 영업을 하지 않는 흉물 주유소가 늘어나고 있다. 수익성이 좋아질 가능성이 희박하고, 폐업비용 지원도 기대할 수 없는 상황이라 휴업 주유소 수는 갈수록 늘어날 것”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