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26일 한국석유공사(사장 양수영)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탄소 포집 및 저장(CCS)’ 실증 모델을 개발하는 국책과제를 수행하기 위해 SK이노베이션 등 민간업체 3곳과 공주대, 이화여대 등 산학 기관들과 연구협약을 체결했다고 밝혔다.
석유공사는 정부 다부처(산업통상자원부, 국무조정실, 과학기술정보통신부, 해양수산부, 환경부) 국책연구과제인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중규모 CCS(이산화탄소 포집 및 저장) 통합실증 모델 개발’사업 추진 주관기관이다. 석유공사와 민간업체는 이송 및 저장 모델 개발 단계에, SK이노베이션과 SK에너지 등은 울산지역 산업시설의 최적 이산화탄소(CO2) 포집원 및 경제적 포집 기술 관련 모델 개발에 참여한다.
정부는 2030년까지 연간 400만t 이상 CCS 구축을 목표로 하고 있는데, 그 첫번째 단계로 2022년 6월 천연가스 생산이 종료되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한 CCS 사업을 추진한다는 계획이다.
석유공사는 20년간 동해가스전 운영을 통해 축적한 노하우와 기술역량을 활용, 동해가스전 지층에 2025년부터 연간 40만t씩 30년간 총 1200만t의 이산화탄소를 주입, 저장할 계획이다.
산업체에서 포집된 이산화탄소를 파이프라인으로 동해가스전으로 이송 후 지하공간에 주입·저장하는 실증사업의 기본설계 단계이며, 이산화탄소의 포집, 수송, 저장기술은 물론 이산화탄소의 유출방지를 위한 안전·환경 분야까지 포함하는 융복합사업으로 추진한다. SK이노베이션, 한국조선해양, 한국지질자원연구원 등 분야별 전문기술을 보유한 7개 기업은 융복합사업으로 참여한다.
양수영 석유공사 사장은 “내년 사업이 종료되는 동해가스전을 활용해 부유식 해상풍력과 CCS사업을 추진하면 철거비용을 줄이고 투자비를 절감함과 동시에 탈탄소정책에 적극 동참할 수 있어 일석이조의 효과를 낼 수 있다” 강조했다.
SK이노베이션은 이번 국책과제에 참여, 최적의 탄소 포집(CC) 기술 검증을 통해 사업 타당성을 평가가 가능해질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향후 CCS 사업 진행 시 참여 파트너사와의 협의를 통해 탄소배출권 확보도 가능할 것으로 예상하고 있다.
SK이노베이션 이성준 환경기술원장은 “에너지 소비가 많은 산업계에서 발생하는 이산화탄소 감축을 위해 CCS기술은 필수 전제 조건”이라며, “최적의 CCS기술에 대한 선제적 확보를 통해 SK이노베이션이 추진하고 있는 그린밸런스2030 달성에 기여하고 ESG(환경, 사회, 지배구조) 경영 가속화에 힘쓸 것”라고 밝혔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