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러나 이런 현상을 그대로 방치하면 많은 부작용이 뒤따르게 마련이다. 특히 혼자 사는 독거노인이나 청소년은 잘못하면 위험한 상황에 빠질 수 있다. 정부와 지자체는 선언적인 구호가 아니라 구체적으로, 주도면밀하게 정책을 펼쳐야 할 때가 됐다.
동남지방통계청에 따르면 울산의 1인 가구는 지난 2005년 5만8000가구에서 2019년 11만6000가구로 두배 증가했다. 울산지역 4가구 중 1가구가 1인 가구인 셈이다. 울산지역 1인 가구 비율은 26.5%로, 전국평균 30.2%보다는 높지 않지만 적기에 적절한 대책을 수립하지 않으면 적지 않은 부작용이 나타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울산지역 1인 가구는 50대(19.5%), 30대(17.3%), 60대(17.1%) 등의 순으로 많이 분포하고 있으며, 1인 가구 중 남자는 40대 이하가, 여자는 50대 이상이 많은 것으로 조사됐다. 구·군별로는 남구(29.8%)가 비율이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중구(26.9%), 울주군(26.7%), 동구(26.5%), 북구(20.5%) 순으로 나타났다. 특히 울산 전체 1인 가구의 21.3%가 65세 이상으로 나타났다.
한국보건사회연구원에 의하면 1인 가구의 가장 큰 어려움은 간호 문제(37.2%)이며, 다음은 심리적 외로움(24.4%), 경제적 불안감(21.6%) 등이다. 특히 장기간에 걸친 코로나19의 확산으로 1인 가구의 어려움은 이전보다 더 커졌을 것으로 짐작된다.
정부는 지난해 6월 주거·안전 등 1인 가구 증가에 따른 정책 개선 방향을 발표했다. 당시 정부는 “1인 가구 정책은 1인 가구를 장려하는 것이 아니라 1인 가구를 지원하는 데 초점이 놓여야 한다”고 강조한 바 있다. 정부의 말은 하나도 그르지 않다. 다만 1인 가구를 얼마나 신속하게 효율적으로 지원하느냐에 달린 것이다.
정부와 울산시는 청년·노년층 1인 가구가 급증하는 현실을 제대로 파악하고 하루 빨리 대책을 수립해야 한다. 정부는 정부대로, 지자체는 지자체대로 각자 가능한 대책을 마련해야 한다. 전세자금 대출, 월세 보조금, 공공임대 주택공급, 일자리 등 할 일은 수두룩하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