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 10명 중 7명 정도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백신을 접종할 의향이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미접종자 중 신종코로나 백신을 맞겠다고 응답한 비율은 69.2%로 지난달 조사(61.4%) 때보다 7.8%p 올랐다.
중앙사고수습본부(중수본)는 문화체육관광부와 함께 한국리서치에 의뢰해 지난달 25~27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1000명을 대상으로 ‘코로나19 관련 인식조사’(95% 신뢰수준에서 표본오차 ±3.1%p)를 실시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31일 밝혔다.

조사 결과에 따르면 전체 응답자 중 미접종자라고 밝힌 912명의 69.2%가 ‘예방접종을 받을 의향이 있다’고 답했다. ‘받을 의향이 없다’고 답변은 16.1%, ‘잘 모르겠다’는 14.7%였다.
지난 3월 첫 조사 때는 미접종자 중 접종을 받겠다고 응답한 비율이 68.0%였는데 지난달 조사에서 61.5%로 6.6%p 하락했다가 이달 다시 7.8%p 올랐다.
중수본은 접종 본격화와 인센티브 부여 등으로 접종 의향이 증가한 것으로 보고 있다.
손영래 중수본 사회전략반장은 이날 백브리핑에서 “접종 인센티브도 영향이 있었을 것이다. 지인이 접종해 큰 문제가 없는 것을 확인하는 것으로도 접종 의사가 독려될 수 있다고 본다”고 말했다.
코로나 백신 접종을 받으려는 이유로는 631명 가운데 76.4%(중복응답)가 ‘가족으로 전파되는 것을 막기 위해서’라고 답했다. ‘집단면역 형성에 기여하기 위해서’는 63.9%였다.
‘코로나 감염 우려’(54.8%), ‘일상생활을 할 때 안심이 될 것 같아서’(52.3%)라는 응답 비율도 높았다. ‘접종을 하지 않으면 근무지나 주변 사람의 눈총을 받을 것 같아서’라는 응답은 4.6%였다.
반면 코로나 백신 접종을 망설이는 이유에 대해선 281명 가운데 85.1%(중복응답)가 ‘이상반응에 대한 우려’를 꼽았다. 이는 지난달 조사보다 1.0%p 오른 수치다. ‘백신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응답은 60.1%, ‘원하는 백신을 맞을 수 없어서’는 44.1%였다.
1~3차 조사에서 모두 접종을 받으려는 이유로 ‘가족 감염을 막기 위해서’가, 접종을 망설이는 이유로는 ‘이상반응 우려’가 가장 많이 꼽혔다.
‘백신의 효과를 믿을 수 없다’는 응답비율은 1차 67.1%, 2차 66.8%, 3차 60.1%로 하락세다.
이번 조사에서 접종자 88명 가운데 85.2%는 ‘접종을 추천한다’고 답했고, 95.5%는 접종 후에도 방역수칙을 준수하고 있다고 답했다.
한편 아스트라제네카(AZ)의 코로나 백신 접종 부작용으로 꼽히는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TTS) 사례가 국내에서 처음으로 확인됐다.
코로나19 예방접종대응추진단(추진단)은 31일 정례 브리핑에서 혈소판 감소성 혈전증 확정 사례가 1건 발생했다고 밝혔다. 연합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