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시의회는 오는 7일 정례회에서 윤정록 의원이 대표발의한 ‘울산시 산업단지개발 지원 조례 개정안’을 심의할 예정이다. 주민 건강검진 관련 내용은 이번 개정 조례안에 들어가 있다.
이번 개정안이 통과되면 전국 광역시도 중 울산에서 처음으로 ‘주민 건강검진 지원’이 조례로 명문화된다. 다만 국가산업단지가 아닌 일반산업단지로만 국한돼 향후 건강검진 대상지역을 국가산단 등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 울산에는 현재 2개의 국가산업단지와 13개의 일반산업단지, 4개의 농공단지가 위치해 있다. 이 중 조례에 포함되는 지역은 13개 일반산업단지 주변지역이다.
울산은 한 마디로 유해화학물질 천국이다. 특히 휘발성유기화합물은 주민들에게 심각한 피해를 입히는 유해물질이다. 울산대병원 환경보건센터가 지난해 울산지역 69곳에서 휘발성유기화합물 농도를 측정한 결과 산단으로부터 멀어질수록 농도가 급격히 감소함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일부 산단지역의 경우 벤젠과 자일렌 농도가 도시 주거지역에 비해 8배와 5배 가량 높았다.
지난 1990년대 울산에서는 ‘농작물공해피해보상금 제도’라는 희대의 제도가 실시된 적이 있었다. 지금은 번화한 도심이 됐지만 한 때 삼산·달동은 넓은 평야였다. 그러나 석유화학단지 등에서 넘어온 유해화학물질이 평야를 뒤덮으면서 수확량이 절반 수준으로 급감했다. 이에 지주들이 들고 일어나 연일 시위를 했고, 결국 정부는 농작물공해피해보상금이라는 이름으로 보상금을 지급했다. 그러나 지금까지도 주민들에 대한 건강검진은 한번도 실시된 적이 없다. 삼산·달동 등지에 세워진 아파트에서는 초산냄새 등 공단에서 불어온 냄새가 너무 심해지자 공기청정기를 다는 가구도 급증했다.
지난달 환경부가 발표한 ‘울산 산업단지 건강피해 예비타당성 조사’에서는 울산 산업단지의 유해물질 배출과 인근 주민의 암 발생이 유의미한 연관성이 있는 것으로 확인됐다. 산단 인근 지역 주민의 암 발생률이 비산단 지역보다 남성은 1.61배, 여자는 1.33배 높은 것으로 드러난 것이다. 기관지 질환을 유발하는 ‘이산화황’의 농도 역시 전국 평균보다 높았고, 폐암 발생 비율도 다른 공단지역에 비해 2배 이상 높았다.
이번에 윤 의원이 발의한 산단 주변 주민건강검진 조례는 한 때 공해백화점으로 불렸던 울산의 어둡고 은밀한 과거를 백일하에 들춰내 주민들의 삶의 질을 드높이는 촉매 역할을 할 것으로 기대된다. 이번 조례가 반드시 통과되기를 바란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