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시대 소비문화 ‘온라인 전환’ 가속화
상태바
코로나시대 소비문화 ‘온라인 전환’ 가속화
  • 석현주 기자
  • 승인 2021.06.2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불과 2~3년 전만해도 오프라인에 집중됐던 소비문화가 온라인으로 빠르게 전환되고 있다. 그동안 의류 또는 신발 품목을 중심으로 나타나던 온라인 구매가 최근 농수산물·식품으로까지 확대된 것이다. 온라인 플랫폼의 특성상 오프라인보다 다양한 종류의 상품들을 한 번에 접할 수 있으며, 안전성이 보장되는 배송 서비스를 통해 편리하게 상품을 받아볼 수 있다는 점도 이 같은 판매 증가의 원인으로 분석된다.

21일 통계청 국가통계포털(KOSIS) 2020년 울산시사회조사결과 분석 결과, 20대 울산시민 4명 중 1명은 농산물·식품도 인터넷으로 구매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 응답자 중 24.3%가 온라인 쇼핑몰에서 식품을 구입한다고 답했는데 이는 2018년(6.3%)과 비교해 3배 가량 급증했다.

대표적인 온라인 쇼핑 품목 중 하나인 신발·의류의 경우 20대 응답자 중 62.7%가 인터넷으로 구입한다고 답했다. 30대 응답자 역시 52.4%로 인터넷 구매 비중이 높았다. 반면 20대 응답자 중 신발·의류를 백화점에서 구입한다는 비율은 7.3%로 나타났다. 2018년(20.9%)과 비교해 절반 넘게 감소한 것이다.

전 연령층의 신발·의류 인터넷 구매 비중은 26.9%로 8년 전인 2012년(13.4%)에 비해 두배 가까이 증가했다. 60대의 신발·의류 인터넷 구매 비중 또한 10.4%로 2년 전(5.4%)와 비교해 크게 늘어났다.

울산 거주 20~30대의 경우 주방용품도 대형마트보다 인터넷을 더 많이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0대는 43.3%가 인터넷으로 주방용품을 구입한다고 답했으며, 30대는 43.0%가 인터넷으로 구입했다. 반면 백화점은 2.6%, 3.6%에 그쳤고, 대형할인점도 39.8%와 40.6%로 나타났다.

40~60대의 경우 주방용품 구입시 대부분이 대형할인점을 이용했고, 70대 이상의 경우 전통시장(47.9%) 이용 비중이 높았다.

이처럼 오프라인 소비의 온라인 전환이 무서운 속도로 진행되고 있으며, 지난해 시작된 신종 코로나 사태가 이를 더 가속화 시킨 것으로 분석됐다.

울산 중구에 거주하는 3년 차 주부 A씨는 “신선식품 전문 플랫폼을 통해 일주일에 한 번 정도 장을 본다. 마트와 비교해 오히려 가격이 더 저렴할 때도 있고, 소량으로 구입할 수 있어 더 간편하다. 무엇보다 신종 코로나 확산 이후 마트보다는 인터넷을 통해 구입하는 경우가 더 많아졌다”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