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인플레 문턱에 선 물가, 방치하면 안된다
상태바
[사설]인플레 문턱에 선 물가, 방치하면 안된다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1.07.05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소비가 물가가 계속 오르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6월 울산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05.89(2015년=100)로 한 해 전보다 2.6% 올랐다.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올해 1월(0.5%), 2월(1.0%), 3월(1.5%) 상승 폭을 키워가다가 4월(2.3%)에 처음 2%대로 올라섰고 5월(2.6%)에는 9년 3개월 만의 최고 상승률을 나타냈다. 지난달에도 2%대에 머물러 3개월 내리 2%대 상승률을 보였다. 전국 소비자물가지수는 107.39로 1년 전보다 2.4% 올랐다.

지금 눈여겨 볼 것은 소비자물가지수와 연관돼 있는 금리인상이다. 물가를 잡기 위한 기준금리 인상은 어쩌면 불가피한 측면이 있다. 그러나 중요한 것은 기준금리를 올리더라도 경제에 미치는 충격을 최소화해야 한다는 것이다. 금리인상은 코로나19로 고통받고 있는 가계와 기업에 타격을 줄 게 뻔하다. 금리가 오르면 이자가 늘어나게 돼 덩달아 소득이 줄고 소비 여력 또한 줄어들게 돼 있다.

한국은행 울산본부의 ‘6월 울산지역 소비자동향조사’에 의하면 울산지역 소비자들은 6개월 뒤에도 가계 부채는 계속 늘어나고 물가, 주택가격, 임금도 고공행진을 보일 것으로 내다봤다. 최근 경기회복세가 이어진다지만 금리 인상이 빚으로 연명하는 영세 자영업자와 한계기업을 벼랑 끝으로 내몰 수 있다는 우려가 높아지고 있는 것이다. 특히 하루하루 살아가는 자영업자들에게 금리 인상은 치명적일 수 있다.

시민들 사이에는 인플레가 이미 시작됐다는 말이 공공연하게 나돌고 있다. 뭉칫돈이 어디로 갈지 헤매고 있다는 말도 나돈다. 그 동안 정부가 코로나19 위기를 타개한다며 너무 많은 돈을 뿌렸기 때문이다. 이 가운데 정부는 33조원에 달하는 2차 추가경정예산안을 통해 소득 하위 80%에 1인당 25만원씩 지급하기로 했다고 한다. 여기다 내년에는 대선과 지방선거까지 예정돼 있다. 확장적인 재정정책과 선거판의 포퓰리즘 공약 등이 상승효과를 불러 일으켜 자칫 내년 경제가 안갯속으로 빠져들지는 않을지 우려하는 사람들이 많다.

이주열 총재는 다양한 표현을 통해서 연내 금리 인상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은성수 금융위원장은 금리 인상을 전제로 ‘가계 부채를 줄이라’고 대놓고 말했다. 거꾸로 해석하면 물가 인상이 계속 이어질 것이라는 말이다.

인플레는 눈앞의 현실로 다가오고 있다. 금리 인상의 부작용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취약계층 지원 등 대비책을 미리 마련하고 자산시장 과열도 진정시켜야 한다. 또 가계와 기업은 지금부터 허리띠를 졸라매는 자구노력에 나서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