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이건희미술관 서울 건립…균형발전 날려 버린 정부
상태바
[사설]이건희미술관 서울 건립…균형발전 날려 버린 정부
  • 정명숙 기자
  • 승인 2021.07.0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정부가 서울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부지와 국립현대미술관 인근 송현동 부지 2곳을 ‘이건희 미술관’ 후보지로 결정했다. 황희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은 7일 정부서울청사에서 기자회견을 열고 고(故) 이건희 회장의 기증품을 한 곳에서 전시하는 기증관 건립 계획 등을 담은 ‘국가기증 이건희 소장품 활용방안’을 발표했다. 지난 4월28일 이건희 회장의 유족 측이 문화재와 미술품 총 2만3181점을 기증한 후 지난 70여일 동안 울산을 비롯한 전국 지자체 30곳에서 미술관 유치 희망의사를 밝혔다. 그런데 정부는 공모는커녕 논의 과정조차 없이 일방적으로 서울로 결정을 해버렸다. 제각각의 이유로 기대를 가졌던 지자체로서는 허탈감을 넘어 배신감을 가질만하다.

정부가 보기엔 단순히 과열경쟁이라고 하겠으나 지자체들은 이건희 미술관이 지역경제활성화, 문화수준 향상, 국토균형발전 등 일석삼조의 기회라고 보고 있다. 유치경쟁 참여 여부와 상관없이 대부분의 지자체들은 정부가 비수도권이 아닌 서울에 이건희미술관을 건립하겠다는 사실에 경악한다. 수도권 과밀화, 지방도시 소멸, 문화격차 심화 등으로 이미 국가적, 시대적 소명이 돼 있는 국토균형발전의 중요한 기회를 쉽게 날려 버리는 일이기 때문이다. 정부의 국토균형발전과 지방분권 의지를 의심할 수밖에 없다.

문화시설의 수도권 집중으로 비수도권 국민은 문화적 기본권을 제대로 누리지 못하고 있다. 부산시에 따르면 전국 국·공·사립 문화기반시설 36%가 수도권에 있고 이 중 국립문화시설 48%가 수도권에 있다. 최근 10년간 세워진 국립 박물관과 미술관 21곳 중 38%인 8곳이 수도권에 있고 올해 완공될 국립세계문자박물관은 인천에, 2024년에 지어질 국립한국문학관은 서울에 건립 예정이다.

이건희 미술관 서울 건립이 발표되자 유치경쟁에 나섰던 지방도시들의 반발이 이어지고 있다. 박성민(울산 중) 의원은 국회 정론관에서 부산·울산·경남 국민의힘 의원들과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문화 균형 발전의 기회를 문체부가 걷어차고 있는 꼴”이라며 “당장 국회에서 공론화 과정을 통해 이건희 기증관 유치 논의를 다시 시작해야 한다”고 말했다. 유치에 나섰던 부산시는 “지역에 대한 무시이자 최소한의 공정한 절차도 거치지 않은 일방적 결정”이라고 반발했다. 대구시는 “비수도권을 대상으로 공정한 절차에 따라 대상지를 다시 선정할 것을 촉구한다”고 했다. 정부의 일방적인 발표로 마무리될 일이 결코 아니다. ‘이건희미술관’이란 이름으로 모든 기증품을 한데 모아 전시하는 방안도 결코 바람직하다고 할 수 없다. 반드시 원점에서 다시 검토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