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를 위해 친환경 신제품 개발, 환경친화적 공정 혁신 등으로 환경부문 개선, 협력사 상생지원·임직원 인권 및 건강 보호·근무환경 개선 등으로 사회적 책임 경영을 강화, ESG위원회 설립 및 성별 다양성 확보 등을 통해 지배구조의 투명성을 확보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제언이다.
11일 BNK금융그룹(회장 김지완) 소속 BNK경제연구원은 ‘ESG 전환과 동남권 대응과제’ 연구보고서를 통해 세계 각국과 기업들은 RE100(신재생에너지 100% 사용), 탄소배출량 감축, 폐기물 발생량 저감 등을 통해 기후변화에 대응하고 있다면서 동남권도 온실가스 다배출 업종 비중이 높은 만큼 적극적 대응이 중요하다고 주문했다.
보고서에 따르면 제조업의 온실가스 배출량은 철강(38.3%), 화학(17.4%), 석유정제(10.8%), 전자부품(7.5%), 금속가공(2.4%), 자동차(2.4%) 순으로 비중이 높다. 철강, 정유·화학 등은 울산을 비롯한 동남권의 핵심 주력산업어서 온실가스 배출 감소 등 ESG 경영은 이제 기업생존의 필수요소가 됐다는 것이다.
보고서는 이와 함께 탄소국경세, 탄소세, 플라스틱세, 공급망 실사제도 등 글로벌 환경규제 강화 흐름도 적극 모니터링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고탄소 수입품에 비용을 부과하는 유럽연합(EU)의 탄소국경조정제도(CBAM)도 2023년부터 시행된다. 탄소세는 현재 25개국에서 시행중인데, 제조업 집약적인 산업 구조상 이산화탄소 배출량이 많은 우리나라 수출 기업에 악재로 작용할 전망이다.
플라스틱세는 EU에서 올해부터 도입했으며 재활용이 불가능한 폐기물에 1㎏당 0.8유로가 부과될 것으로 알려졌다. 내연차 판매중지, 공급망 실사제도 등의 환경관련 규제 정책 변화에도 주목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2025년 이후 세계 각국에서 내연기관차 판매 및 등록이 중단되고 기업이 비재무정보 제공을 거부할 경우 공급망 선정 시 불이익을 주는 공급망 실사제도도 2024년부터 도입될 예정이다.
BNK경제연구원 정영두 원장은 “동남권 각 지자체는 2050년 탄소중립을 선언, 대응계획을 수립 중에 있다. 보다 내실있는 대응계획 추진을 위해 추진상황 평가 전담조직 설치 등으로 모니터링 기능 강화와 중소기업 등 지역기업의 ESG 전환을 위한 지원도 높여나가야 힌다”고 조언했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