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울산문화백신프로젝트-100인의 인터뷰]“코로나로 축제의 군중성 사라져 기존방식 넘어선 다양한 시도중”
상태바
[울산문화백신프로젝트-100인의 인터뷰]“코로나로 축제의 군중성 사라져 기존방식 넘어선 다양한 시도중”
  • 홍영진 기자
  • 승인 2021.07.13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성태 울산문화재단 축제추진단장
울산문화재단 축제추진단의 주요사업은 △울산에서 가장 오래된 축제인 처용문화제 △아시아·태평양지역에 한국음악의 위상을 알리는 울산아시아퍼시픽뮤직미팅(울산에이팜) △태화강국가정원을 중심으로 한 ‘태화강공연축제나드리’다. 이와함께 울산국제영화제를 지원하고, 춤페스티벌과 시가경연대회도 진행한다.

이 모든 사업을 실질적으로 관장하는 김성태 단장을 만났다. 2년 전 이 일을 시작해 지난해 첫 사업을 펼쳐지만, 코로나 때문에 아쉬움이 컸다.

“축제는 군중과 소통하며 어우러지는 것인데 코로나가 모든 일상과 상식을 바꿔놓았습니다. 감염병에 대응해서 시도한 온라인행사는 축제의 본질인 ‘군중성’을 배제한 것이라 엄격히 말하면 축제라고 할 수가 없죠. 에이팜과 프롬나드는 당연히 취소할 수밖에 없었고, 처용문화제도 비대면 공연만 진행했어요. 기존방식이나 틀만으로는 해결되지 않는, 숙제가 주어진 셈이죠.”

처용문화제, 에이팜, 나들이는 각각 다른 행사다. 하지만 같은 조직이 비슷한 시기에 비슷한 형식으로 안일하게 치른다는 인식이 없지않다. ‘친절한 해명’이 필요해 보였다.

“알고있습니다. 세 축제는 모두 10월에 열립니다. 개인적으로 처용문화제는 ‘가을운동회’, 태화강공연축제나드리는 ‘가을소풍’, 에이팜은 ‘가을수학여행’으로 의미를 분류해 놓았습니다. 운동회, 소풍, 수학여행은 닮은듯하지만 기대와 설렘은 각각 다르지요. 처용문화제는 연희, 나드리는 거리예술, 에이팜은 창작국악을 기반으로 한 국제문화교류라고 보시면 됩니다.”

그중에서도 처용문화제는 언제나 관심이 집중된다. 하지만 정작 참여하려는 시민은 많지 않다. 새로운 것이 없을 것 같기 때문이다. 울산문화계는 이 축제를 짐처럼 생각할 때도 있었다. 축제를 앞두고 어떤 타개책이 있는지 궁금했다.

“축제의 얼굴은 ‘전통과 새로움’인 것 같아요. 전통은 당위성을 부여하고, 새로움은 호응과 관심을 유발하지요. 두 요소가 잘 어우러져야 ‘참여’가 가능합니다. 55주년이 됐지만 여전히 숙제지요. 저는 예술, 특히 연희로 풀어가려 합니다. 처용은 음악, 무용, 문학, 미술, 민속 등 문화의 중심, 보물창고입니다. 장르를 넘어서는 기획과 상상력으로 미래 울산을 이끌어갈 가치가 충분합니다. 그래서 올해는 ‘한국의 연희’를 중심으로 합니다. 전통연희, 무형문화재, 정재(궁중무용), 창작공연작품에 비보이, 기예, 시민참여까지 생각하고 있습니다. 국제연희축제로 발전하면 좋겠습니다.”

코로나가 다시 확산일로다. 하반기 축제 일정은 다가오는데, 현장 분위기는 어떤 지 물었다.

“밀집행사가 불가능할 경우 무조건 행사를 취소하고 포기하기 보다는 오히려 긴 기간 동안 울산의 다양한 지역을 방문하는 형식, 또는 집중된 무대를 떠나 거점을 더 넓혀서 시도하는 분산형 방식을 고려하고 있습니다. 또 하나의 시도가 되겠지요.” 홍영진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산업수도 울산, 사통팔달 물류도시로 도약하자]꽉 막힌 물류에 숨통을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KTX역세권 복합특화단지, 보상절차·도로 조성 본격화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