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설]코로나19 대유행, 최악상황 대비해야
상태바
[사설]코로나19 대유행, 최악상황 대비해야
  • 이재명 기자
  • 승인 2021.07.2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휴가철을 앞두고 사적모임 인원 변경으로 시민들이 혼란을 겪고 있다. 울산의 경우 지난달 23일 개편된 거리두기 방안을 적용, 사적모임을 8인까지 허용했다. 이후 확진자가 점차 늘면서 지난 15일에는 사적모임은 6인까지, 영업시간은 오후 11시까지 제한하는 거리두기 2단계를 적용한다고 발표했다. 하지만 발표 5일만에 정부 방역지침에 따라 19일부터 사적모임을 4인까지만 허용했다.

중대본의 이번 ‘비수도권 5인 이상 모임 금지’ 결정은 뒤늦은 감이 있다. 이미 사람들은 휴가철에 들어갔고 강원도 등 동해안에는 피서객들이 운집하고 있다. 울산도 마찬가지다. 지난 토·일요일 정자 바닷가를 비롯한 강동 해안에는 사람들이 발디딜 틈 없이 몰려나왔다. 울산지역의 한 펜션 관계자는 “울산도 4인까지 모임인원이 제한되면서 오늘만 방 변경이 가능하느냐는 문의 전화가 20통은 넘게 왔다”면서 “당장 7월말, 8월초 성수기 예약을 다 받아놨는데 6인용, 8인용 방들이 모두 취소되거나 변경을 요구하니 우리도 미칠 노릇”이라고 말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4차 대유행의 파고를 넘기 위해서는 다시 한번 방역의 고삐를 다잡아야 한다. 잘못하면 우리 모두가 공멸의 길로 갈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중앙방역대책본부는 19일 0시 기준으로 신규 확진자가 1252명 늘어 누적 17만9203명이라고 밝혔다. 휴일에도 1200명 넘는 확진자가 나왔다는 것은 그만큼 최근 확산세가 심각하다는 방증이다. 현시점의 최대 위험 요소는 여름 휴가와 권역별 방역 단계 차이에 따른 풍선 효과이다. 일각에서는 풍선 효과를 막기 위해 비수도권 전체의 거리두기를 3단계로 일괄 격상해야 한다는 주장도 제기되고 있다.

당국은 방역 수위 격상과 백신 접종의 효과가 나타나면 다음 달 말쯤에는 신규 확진자가 800명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고 있다. 그러나 반대로 최악의 시나리오가 펼쳐질 경우 그 숫자가 2300명까지 늘어날 수도 있다고 밝히고 있다. 이런 점에서 정부가 5인 이상 사적 모임을 금지하는 등 비수도권 방역을 강화하는 쪽으로 방향을 잡은 것은 늦었지만 다행스러운 일이다.

올여름 우리는 코로나와 폭염이라는 이중고를 겪고 있다. 호흡하기조차 힘든 날씨에 하루 종일 마스크까지 착용하고 생활하는 것은 가히 고역이 아닐 수 없다. 그러나 이번 고비를 넘기지 못하면 방역의 둑은 순식간에 무너질 수 있다. 힘든 시기이지만 모두 방역에 경각심을 갖고 이 고비를 슬기롭게 넘겨야 할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