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도권 과밀화와 지방소멸은 이미 오래 전부터 거론돼 왔던 해묵은 주제다. 그간 울산·부산·대구·경북·경남은 지난 2007년부터 ‘영남권 시·도지사협의회’를 구성해 서면 회의 등 총 9차례에 걸쳐 영남권 광역발전계획을 논의해왔다. 그러나 지난 2015년 11월 이후 이 협의회는 더 이상 열리지 않았다. 그러다가 지난해 8월5일 명칭을 달리해 ‘제1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서 5개 광역자치단체장들은 수도권 집중현상을 해소하고 국가균형 발전을 이루기 위해 영남권을 중심으로 한 새로운 발전 축을 만들기로 했다. 20일 개최된 제2회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는 1년만에 열린 것이다.
현재 영남권 5개 시·도의 인구는 1300만명이다. 경기도 인구와 맞먹는 규모다. 서울과 인천을 포함한 수도권 전체 인구에는 미치지 못하지만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를 구축하면 수도권에 대응하는 큰 힘을 발휘할 수 있다. 우리나라 인구의 절반이 수도권에 집중돼 있다는 점을 감안하면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은 반드시 이뤄야 할 절대적인 숙명이라고 하지 않을 수 없다. 특히 대한민국은 지금같은 수도권 일극체제를 하루빨리 다극체제로 전환하지 않으면 지방은 없고 수도권만 있는 비극적인 운명에 직면할 수도 있다.
20일 5개 광역자치단체장이 서명한 지방분권과 지역균형발전 강화를 위한 ‘영남권 상생 번영 협약서’는 적지 않은 의미를 지니고 있다. 또 이날 보고된 ‘영남권 발전방안 공동연구’에는 교통·물류, 환경·안전, 문화·관광 등 6개 분야별 전략이 총 망라돼 있다. 지난해 출범한 영남권 미래발전협의회가 불과 1년만에 구체적인 전략을 제시한 것이다.
영남권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은 5개 단체장들의 협약이나 서명 같은 대외적인 명분쌓기로만 이뤄지는 것은 결코 아니다. 광역단체장들이 바뀌더라도 그랜드 메가시티 구축은 계속 추진돼야 하며, 그 과정에는 시민들과 정치권의 의지와 정부의 적극적인 지원이 수반돼야 한다. 특히 울산은 부산, 경남과 함께 동남권 메가시티 구축도 함께 추진해나가야 한다. 새로운 대한민국 건설은 수도권에 대응하는 새로운 메가시티를 다각도로 구축하는 것임에 다름 아니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