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스크 칼럼]대선주자에 우글거리는 ‘권력기생충’
상태바
[데스크 칼럼]대선주자에 우글거리는 ‘권력기생충’
  • 김두수 기자
  • 승인 2021.07.2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두수 서울본부장(부국장)

청와대 A비서관이 전화를 걸어왔다. 평소 기자와 친한 사이가 아닌 그가 전화를 걸어와 복수의 기자와 식사를 함께하는 것은 매우 이례적인 것으로, 혹여 지역현안과 관련된 의제가 아닌가 미루어 짐작했다.

하지만 예측은 완전 빗나갔다. 여성인 그는 외관상에서도 금방 알아 챌 수 있는 부어오른 눈두덩으로 “밤 새 뜬눈으로 지샜다”면서 말문을 열었다. “청와대 비서관이 매일하는 일이라곤 수석비서관의 ‘잔심부름’이나 하는 역할외엔 없다. 정말 내가 생각해도 너무나 한심하다”고 했다. 그러면서 “수석 비서관과 청와대 밖으로 동행할 땐 그냥 수행원일 뿐, 제대로 된 ‘정책적 미션’은 단 한번도 없다”고 말했다.

그는 나아가 엄지 손가락을 가리키며 “‘V님(대통령)조차도 그 수석(비서관)에 대해 잘 모르는 것같다. (나는)내일자로 그만 둔다. 완전 청와대를 떠날 것”이라면서 끝내 눈시울을 붉혔다. 이후 기자들이 취재후 확인된 수석비서관의 인사배경은 권부와 사사로운 정에 끌린 이른바 ‘정실인사’라는 분석이 나왔고, 그 수석은 중도에 내려왔다. 여기까지는 기자가 수년전 보수진영 대통령 집권 시절의 일화다.

필자와 같이 3대 정부를 연이어 출입하면서 10년이상 청와대를 출입한 기자는 극소수다. 때문에 집권측에서도 출입기자들의 근속수에 따라 정세분석 및 상황 판단력까지도 일정부분 알 수 있기에 자연스레 물밑접촉이 가능하다.

각종 도덕성 논란, 부동산 투기 의혹 등으로 국민들의 피로지수가 정점으로 치달으면서 청와대 핵심인사들이 중도 낙마한 사례는 전후정권 모두 헤아릴 수 없이 많다. 이러한 ‘부실인사’의 이면엔 과연 대통령의 책임이 없다고 말할 수 있을까?

8개월 앞으로 다가온 2022년 3월9일 대선레이스가 본격화 됐다. 여야 대진표 완성은 늦어도 11월 중순께로 관측된다. 대선 캠프와 주변엔 벌써부터 ‘권력기생충’이 우글거리기 시작했다. “당신만이 나라를 구할수 있다. 존경스러워 미치겠다”며 생업의 자리를 던지고 따라나온 ‘싱싱한 애국자’는 안보인다. 시쳇말로 이미 퇴물이 된 ‘어중이떠중이’도 있고, 은퇴 이후 연금이나 타먹으며 ‘이리 기웃, 저리 기웃’하다 대선캠프에 줄을 대려는 사람도 부지기수다. 영화속의 기생충만의 얘기가 아니다. 이들 가운데는 누군가 대선에 ‘골인’하게 되면 인수위원회 자리부터 꿰차고는 곧바로 청와대로 들어 갈 수도 있을 것이다.

작금의 비대면 상황에서도 대선주자들은 동분서주 실시간 동선과 현장워딩을 기자들에게 알린다. 하지만 대통령으로서 국정운영을 어떻게 할 것인지, 왜 출마 하는지에 대해선 아직까지 귀에 쏙 들어오지 않고 있는 상황이다. 국민들의 알권리조차 제한받고 있다. 때문에 ‘부끄러운 과거사’가 탄로날까 두려워 은폐에만 급급한 ‘비겁한 대통령’이 탄생하게 될 지도 모르는 상황이다.

대선주자들에게 제안한다. 비대면의 시대상황에 걸맞게 국민에게 제대로 알리는 ‘셀프 기자회견’을 자청해보라. 삶과 직결되는 경제와 복지, 부동산 정책에서부터 한반도 평화와 관련된 김정은에 대한 전략과 전술, 지정학적으로 고도의 외교력이 시급한 동북아정책, 총리와 국무위원·청와대 수석과 비서관 인사의 기준에 대해 국민들은 소상하게 알고 싶어한다. 대선후보의 재산형성과 가족관계, 과거사 등 비록 민감한 사안까지도 대통령 후보는 절대 소극적이어선 안된다. 지난 삶과 조직에서 일관성과 말 바꾸기 등 ‘내로남불’ 검증 역시 빼놓을 수 없다.

그것도 ‘알릴 것만 알리고, 피할 것은 피하는 식’의 일방적인 회견이 아니다. 생방송이 아닐지라도 그 흔한 줌(ZOOM)을 통해 적어도 아침 10시부터 오후 6시까지 기자들이 지칠만큼 ‘종일 검증’ 시간을 가져보라. 청소년시절 ‘마약 스토리’를 스스럼없이 밝히고 이해를 구하는 미국의 44대 대통령 오바마와도 같이 진솔한 자세로 국민들과 마주해보라. 내로남불 ‘3류 청와대’가 아닌 클린 청와대, 국민들이 최고로 신뢰하는 ‘일류 청와대’를 보고싶은 건 비단 출입기자만의 소망이 아닐 것이다.

김두수 서울본부장(부국장)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신입공채 돌연 중단…투자 외 지출 줄이고…생산직 권고사직…허리띠 졸라매는 울산 석유화학업계
  • 아마존·SK, 7조규모 AI데이터센터 울산에
  • 울산, 75세이상 버스 무료 교통카드 발급 순항
  • 방어진항 쓰레기로 ‘몸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