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민지원금, 지역상품권 사용처로 한정
상태바
국민지원금, 지역상품권 사용처로 한정
  • 김창식
  • 승인 2021.08.12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5차 재난지원금으로 전 국민의 약 88%가 1인당 25만원씩 9월 추석전까지 받는 ‘코로나 상생 국민지원금’의 사용처는 기본적으로 지역사랑상품권 사용 업종·점포로 한정된다. 국내외 대기업과 명품 브랜드 매장에서 사용이 금지되고, 대기업 프랜차이즈 브랜드의 경우 가맹점에서만 사용 가능하다.

11일 국민지원금 지급 관계부처 태스크포스(TF)에 따르면 정부는 이달 말 지급 계획인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상생 국민지원금 사용처를 지역사랑상품권(지역상품권) 사용 가능 업종·업체와 맞추는 것을 원칙으로 정했다.

국민지원금 지원 혜택이 일부 대기업 계열이 아니라 지자체의 자영업자와 소상공인에게 돌아가도록 하기위한 조치다.

정부는 국내외 대기업 계열사 매장에서는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도록 했다. 이에 따라 스타벅스와 이케아, 애플 등 글로벌 대기업, 샤넬·루이비통 등 명품 브랜드 매장에서는 국민지원금을 사용할 수 없다. ‘지역사랑상품권 이용 활성화에 관한 법률’(지역상품권법)에 중소기업이 아닌 기업은 지역사랑상품권 가맹 등록이 제한되기 때문이다.

정부가 지난해 전국민에게 지급한 긴급재난지원금은 외국계 대기업 매장과 백화점 외부에 있는 명품 브랜드 자체매장에서 사용이 가능해 논란이 발생하자, 이번에는 배제했다.

이번 국민지원금은 지역구분 없이 가맹점에서만 쓸 수 있다. 대기업이 운영하는 치킨·빵집·카페 등 프랜차이즈 브랜드는 본사 직영점에서는 못 쓰고 프랜차이즈 점주가 운영하는 가맹점에서는 사용 가능하다.

지난해 긴급재난지원금은 본사 소재지에서는 직영과 가맹 상관없이 사용 가능하고 다른 지역에서는 가맹점에서만 사용가능했지만, 이번에는 제외했다.

이와함께 이마트, 노브랜드, 홈플러스 익스프레스, 롯데마트 등 대규모 유통기업 계열의 기업형 슈퍼마켓도 지역상품권 사용이 안 돼 국민지원금 사용처에서 제외됐다.

이밖에 대형마트와 백화점, 면세점, 온라인몰, 유흥업소, 사행성 업소 등에서는 지난해와 마찬가지로 국민지원금을 쓰지 못한다.

상생 국민지원금은 전통시장, 동네 슈퍼마켓, 음식점, 카페, 빵집, 직영이 아닌 대부분의 편의점, 병원, 약국, 이·미용실, 문구점, 의류점, 안경점, 어린이집, 유치원, 학원 등에서 사용가능하다.

또 대형마트 안에 있더라도 소상공인이 운영하는 임대 매장이면서 개별 가맹점으로 등록한 곳에서는 국민지원금을 쓸 수 있다.

한편 국민지원금 지급 자격에 대한 이의신청은 이번에는 온라인으로 접수하기로 했다. 지난해에는 읍·면·동 사무소에서 이의신청을 받았으나 이번에는 홈페이지 등 별도 창구를 만들어 이의신청을 접수할 방침이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