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격조사기관인 한국물가정보는 추석을 3주 앞둔 지난달 31일 기준 전통시장과 대형마트의 차례상 품목을 조사한 결과 올해 4인 가족 차례상 비용이 전통시장 기준 27만4500원으로 지난해보다 1.5%(4000원) 늘 것으로 나타났다고 1일 밝혔다. 대형마트를 이용할 경우 38만3820원이 필요해 2.4%(9090원) 더 드는 것으로 조사됐다.
지난해 장마와 태풍으로 가격이 급등했던 과일류는 올해도 계속 높은 가격에 거래되고 있다. 특히 배는 저장 재고가 소진되면서 좋은 품질의 배가 귀해져 높은 가격대가 형성되고 있다.
1일 한국농수산식품유통공사(aT) 농산물유통정보(KAMIS)에 따르면 1일 기준 배(원황·10개) 소매가격은 3만2436원으로 1년전 2만6236원에 비해 23.6% 올랐다. 한국물가정보는 늦게 찾아온 가을장마가 길어지며 당분간 과일 가격은 쉽게 내려가지 않을 것으로 전망했다.
여기에다 계란과 닭고기 가격 상승도 눈에 띈다. 지난해 고병원성 조류인플루엔자(AI) 확산으로 양계농장이 피해를 입은 탓이다. 대형마트에서 장을 본다고 가정하면 달걀(10개)과 닭고기(손질 육계, 1.5㎏)의 가격은 지난달 31일 기준 각각 4780원, 1만3990원으로 1년 전과 비교해 59.9%, 27.3% 뛰었다.
견과류 중에서는 곶감과 대추 가격이 지난해 생산량이 줄고 신종 코로나 사태로 인한 수입 감소로 공급량도 감소하면서 전통시장 기준으로 각각 62.5%, 40.0% 올랐다.
나물류에서는 시금치와 고사리, 도라지 가격이 올랐고, 지난해 가격이 많이 뛴 소고기는 그 여파가 계속되면서 지난해와 비슷한 가격을 유지하고 있다.
한국물가정보는 채소류를 제외한 대부분 품목의 가격이 올랐으나 지난해 긴 장마 등 기상 악재로 급등했던 채소류 가격이 올해 절반 가까이 떨어지면서 전체 비용은 지난해와 비슷해졌다고 설명했다.
이동훈 한국물가정보 선임연구원은 “현재 과일, 채소, 곡식류 등은 폭염 후 찾아온 가을장마로 인해 상품(上品)의 가격대가 높아 좋은 품질의 재료를 비교적 저렴하게 구매하고자 한다면, 평소보다 늦게 구매하는 것이 현명한 방법”이라고 말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