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 중구가 관내 4개 동 주민들을 대상으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진단검사 권고 행정조치(본보 9월2일자 6면)를 내렸지만 효과는 고개를 갸웃거리게 한다. 대상 지역주민들 사이에서는 과도한 핀셋 조치에 대한 불쾌감과 함께 영업위축으로 매출 하락을 호소하는 자영업자들의 불만도 나온다.
중구는 지난 2일 목욕탕과 주점 등으로 집단감염이 발생한 학성동, 반구1동, 중앙동, 병영1동 등 4개동 주민을 대상으로 가구당 1명은 신종코로나 진단검사를 받도록 권고하는 행정조치를 발령했다. 당시 울산 전체 확진자의 42.3%가 중구에서 나왔고, 4개동을 중심으로 확산세가 심상치 않자 선제적으로 대책 마련에 나선 것이다.
울산에서 특정 동을 대상으로 진단검사 권고 행정조치를 내린 건 처음이고, 전국적으로도 이례적이다.
하지만 이같은 행정조치가 크게 효과를 보지 못한데다 식당 등 자영업자들은 영업위축에 따른 불만까지 나오고 있다.
지난 6일 기준 행정조치가 내려진 4개동에서 진단검사에 참여한 인원은 약 500여명으로 집계됐다. 중구가 4개 동 2만8000여명을 대상으로 진행한다고 발표했지만 참여율은 고작 1.78%에 그치고 있는 셈이다. 이마저도 임시 조성된 성남둔치 공영주차장 선별진료소에서만 4개 동 주민 참여율을 집계한 것이며 나머지 선별진료소에서는 집계조차 되지 않고 있다.
그동안 울산에서는 집단감염이 나왔을 때 특정업종 종사자를 대상으로 한정하거나, 일부 지자체에서는 구 전체를 대상으로 진단검사를 하는 식의 대응을 해왔다. 이 때문에 핀셋 조치의 대상이 된 이들 지역 주민들은 과도하다며 불쾌감을 표시하고 있다.
학성동 한 주민은 “숨은 감염자를 찾아내려면 다른 구군처럼 전체를 대상으로 하던가, 문제가 있는 시설에 간 사람들이나 종사자들을 대상으로 해야지 왜 특정 동을 이렇게 딱 찝어서 검사를 받으라고 하는지 이해가 되지 않는다”고 지적했다.
이들 동의 자영업자들도 과도한 핀셋 방역조치에 불만을 표시하고 있다.
병영에서 식당을 운영하는 김모(49)씨는 “영업시간 제한으로 장사 안되는데 우리 동에서 집단감염이 터지면서 매출이 약 20%는 더 줄었다”며 “행정이 자영업자들의 어려움을 알고 있는지 모르겠다”고 말했다. 정세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