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혜숙의 한국100탑(50)]인제 한계사지 삼층석탑
상태바
[배혜숙의 한국100탑(50)]인제 한계사지 삼층석탑
  • 경상일보
  • 승인 2021.09.10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배혜숙 수필가

구절양장, 한계령을 오른다. 양희은의 ‘한계령’ 노래가 청아한 소리로 한 발 앞서 간다. 삶에 지친 이들을 담담하게 위무한다. 발아래 계곡은 깊은데 ‘우지마라’고 토닥이더니 탁 트인 한계령에선 애써 붙잡고 있는 것은 다 ‘잊어라’고 달래준다. 구름이 밀려왔다 흩어지는 고갯마루를 지나 한계사지에 닿는다. 한계사지는 국립공원이 엄격히 규제하는 곳이라 허가를 받아야만 발을 들일 수 있는 곳이다. 인연이 닿아야 이 산 저 산 눈물 구름을 이고 있는 한계사지의 쓸쓸함을 마주 할 수 있다.

숲을 조금 오르자 환하게 열리는 폐사지. 깨어지고 허물어진 부처님의 대좌, 광배와 석등 조각이 있고 금당 터의 주춧돌이 비스듬히 누워 있다. 무엇하나 성한 것이 없는데 보물 제1275호 남 삼층석탑만이 제 모습을 갖추고 나그네를 맞는다. 오래전부터 탑과 나 사이에 알게 모르게 장력이 작용했는지 그 앞에 서는 순간 법열의 환희가 느껴진다.

▲ 인제 한계사지 삼층석탑
▲ 인제 한계사지 삼층석탑

남 삼층석탑은 수줍은 새색시처럼 다소곳하다. 사바세계의 대중들이 쉽게 접근하지 못하도록 숨겨둔 이유를 알 것 같다. 아래층 기단의 한 면에 세구씩 새겨진 안상무늬가 이 탑이 가진 최고의 장식이다. 그 마저도 실눈으로 바라보면 바람 길을 따라 일렁일렁 흔들린다.

북쪽으로 난 계단을 따라 숲속을 오르면 또 하나의 삼층석탑이 숨어있다. 보물 제1726호 북 삼층석탑이다. 남 삼층석탑과 달리 거친듯하나 늠름한 사내의 풍모다. 두 탑은 보는 맛이 확연히 차이가 난다. 같은 석공의 솜씨는 분명 아니다. 통일신라시대에 조성된 두 기의 삼층석탑은 등명 꺼지고 독경소리도 끊긴 첩첩산중의 절터를 꿋꿋하게 지키고 있다. 설악은 한계사지를 품고 그 중심에 선 삼층석탑은 벙근 꽃봉오리다.

시절이 하 수상하여 내려가는 것이 망설여진다. 발아래 깨어진 기와조각도 붙잡는데 저만치기암의 봉우리들이 ‘내려가라’고 가만히 어깨를 떠민다. 바람에 떠밀려 한계령을 내려온다. 오색석사에도 설악이 품은 어여쁜 삼층석탑이 기다리고 있기 때문이다. 배혜숙 수필가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도시철도 1호선, 정차역 총 15개 조성
  • ‘녹슬고 벗겨진’ 대왕암 출렁다리 이용객 가슴 철렁
  • 울산 동구 주민도 잘 모르는 이 비경…울산시민 모두가 즐기게 만든다
  • [창간35주년/울산, 또 한번 대한민국 산업부흥 이끈다]3년뒤 가동 年900억 생산효과…울산 미래먹거리 책임질 열쇠
  • 제2의 여수 밤바다 노렸는데…‘장생포차’ 흐지부지
  • [울산 핫플‘여기 어때’](5)태화강 국가정원 - 6천만송이 꽃·테마정원 갖춘 힐링명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