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관계부처가 합동으로 만든 ‘K-조선 재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조선업계에 따르면 조선업은 과거 호황기(2006~2008년) 이후 13년만에 슈퍼사이클리 다시 도래했다. 올해 1~7월 전 세계 누계 발주량 3021만CGT(표준선 환산톤수) 가운데 한국은 42%인 1285만CGT를 수주해 과거 호황기(2006~2008년) 이후 13년 만에 최대 수주량을 기록했다. 최근 3개월간은 글로벌 발주의 47%를 수주하며 세계 1위를 달성했다.
특히 대형컨테이너선 등 고부가 가치 선박과 액화천연가스(LNG)선 등 친환경 선박 발주량의 63%와 66%는 한국이 쓸어 담았다.
정부는 당장 이런 수주 실적을 뒷받침하려면 내년까지 8000명 안팎의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보고 인력양성에 나서기로 했다.
선박 수주부터 설계까지는 통상 2~3년이 걸리는데, 지난해에는 코로나 여파로 조선업계가 어려움을 겪으면서 인력 유출이 지속된 탓이다.
정부는 기존 숙련인력의 고용 유지를 위해 ‘경남형 고용유지 모델’을 조선업 밀집 지역인 울산과 부산, 목포 등으로 확대하기로 했다. 이는 정부가 훈련비·인건비를, 지자체가 4대 보험료를 지원해 고용을 유지하는 방식이다.
퇴직자 재고용 기업에는 월 30만~50만 원의 채용 장려금을 최대 8개월간 지급한다. 생산·기술인력 양성 교육사업을 확대해 내년까지 2660명을 양성하며, 신규 채용자 인센티브도 신설해 신규 인력 유입도 늘리기로 했다.
도장 분야 외국인 근로자 전문 취업 비자(E-7)를 신설하는 등 외국인 근로자 도입 규모도 탄력적으로 확대 조정한다.
정부는 생산성을 끌어올리기 위해 조선소에 스마트 야드를 구축하고, 기자재 생산공정도 자동화하는 등 디지털 기반 생산역량도 강화한다.
특히 친환경·스마트 선박 개발과 보급에도 앞장서기로 했다.
LNG·혼합원료 등 저탄소 선박 기술을 국산화·고도화하고, 그다음 단계인 수소·암모니아·전기선 등 무탄소 선박 기술 개발도 추진한다.
인공지능, 빅데이터 등 4차 산업혁명 요소 기술을 적용한 자율운항선박도 2025년까지 개발한다는 목표다.
조선산업의 조선업 생태계 경쟁력을 강화하기 위한 방안도 제시했다.
정부는 2030년까지 국가 관공선 전체 467척 가운데 83%인 388척을 친환경으로 전환하고, 중소조선소·기자재업체 수주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금융·수출·마케팅·물류도 지원한다.
이에대해, 조선업계는 환영의 뜻을 표했다.
한국조선해양플랜트협회 가삼현 회장은 “오랜 불황 후 재도약의 기회를 맞아 이번 정부의 전략은 업계의 경쟁력 확보와 상생 및 동반성장에 큰 도움이 될 것으로 기대된다”고 밝혔다.
현대중공업그룹의 조선 지주사인 한국조선해양은 “환경규제 강화와 디지털 융합 트렌드로 K조선이 도약의 새 기회를 맞았다”면서 “수소, 암모니아 등 친환경 원천기술 개발과 자율운항, 스마트십 기술 고도화에서 기술력으로 세계를 선도하겠다”고 밝혔다.
조선업계는 정부 지원이 목표달성까지 유지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