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가 K-조선 재도약 전략을 발표, 울산지역 조선업계의 전망을 높게 했다. 이는 친환경·스마트화 전환을 골자로 하는 정부 전략과 울산시가 조선업 재도약을 위해 역점 추진 중인 사업과 연관성이 많기 때문이다.
정부는 9일 삼성중공업 거제조선소에서 문재인 대통령을 비롯해 정부와 지자체, 기업, 유관기관 관계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조선산업 재도약을 위한 ‘K-조선 재도약 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이날 △수주 실적을 뒷받침하는 생산역량 확보 △글로벌 주도권 강화를 위한 친환경·스마트화 선도 △지속가능한 성장을 위한 건강한 산업생태계 구축 등 세부 추진과제를 제시했다.
정부는 특히 경남에 국한된 고용유지 모델을 울산과 목포 등 조선업 밀집지역으로 확대하고 지원 요건도 완화하기로 했다.
이에 따라 울산지역 조선업 교육 훈련생은 고용노동부로부터 훈련비 100%와 인건비를 지원받을 수 있게 됐다. 4대 보험료도 울산시가 50%를 지원해 부담을 덜게 된다.
채용 예정자 훈련수당도 확대한다. 현재 월 40만원인 수당에 울산시 등 지자체 지원금 60만원을 더해 100만원을 지원한다.
울산의 부족 인력이 2307명인 반면 경남의 유휴 인력은 5558명에 달하는 점을 감안해 조선업 구인·구직 매칭 플랫폼도 구축하는 등 다양한 지원책을 제시해 인력 확보에 숨통이 트일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기반 생산 역량 강화를 위해 야드 내 생산·물류 등 전 공정을 디지털화하는 스마트 야드 구축을 추진한다.
자동화가 시급한 철 의장 등 분야를 대상으로 제조 공정 자동화도 우선 추진한다. 아직 내년도 국비를 확보하지 못한 울산 조선해양 철 의장 제조산업 디지털 전환 사업에 청신호가 켜진 셈이다.
친환경 선박 개발 및 보급 확대를 위해 수소 등 무탄소 선박 개발에도 박차를 가한다. 울산은 규제특구 실증 사업을 통해 소형 벙커링 시스템 및 수소 연안 선박의 안전 및 선급 규정을 개발 중이다.
K-스마트십 개발·보급 확대도 지원한다. 테스트베드인 성능실증센터 구축과 시험 선박 실증을 통해 자율 운항기술 실증을 추진한다. 울산 동구 고늘지구에서 관련 기술을 실증하고 트랙 레코드를 확보하게 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조선산업이 친환경·스마트화로 전환되는 지금이, 울산시가 세계 일등 조선도시로 거듭나기 위한 절호의 기회가 될 수 있다”며 “관내 조선업계가 환경 변화에 적응하면서 패러다임 전환을 주도하고 세계 선박 시장을 선점할 수 있도록 만전을 기하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