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국교직원노동조합 울산지부는 13일 보도자료를 내고 “시의회 예결위의 심의내용은 시의회 스스로 상임위원회의 전문성과 필요성을 부정하는 것이라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며 “학생들의 교육활동과 학교구성원 의견을 중심에 두고 교육청 예산을 검토하라”고 촉구했다.
전교조는 “교육부가 교부한 1700억원은 코로나로 인해 침체된 경기를 회복하기 위해 연말까지 집행해 서민경제에 도움을 주라고 권장된 예산”이라며 “그렇기에 이번 예산 삭감의 구체적인 이유에 대해 항목별로 공개돼야 한다”고 덧붙였다.
울산여성회도 이날 입장문을 통해 “시의회는 적극적으로 교육예산을 확대 편성하고 학생과 학부모들이 체감할 수 있는 예산을 편성해야 함에도 오히려 학교 현장에 투입되는 예산을 삭감해 학부모들의 분노를 자아내고 있다”고 주장했다.
여성회는 “교육격차를 해소하고, 학생들의 방치 상태를 해결하기 위해 학교 현장에 예산을 직접 투자하는 것만큼 시급하고 중요한 것은 없다”고 강조했다.
교육희망울산학부모회도 이날 보도자료를 내고 “울산시의회는 예산검토에 신중성을 기해 차후에라도 예산을 반영하라”며 “학생들에 대한 투자가 정주 인구를 늘이는데 더 효과적이라는 것을 알아야 할 것”이라고 지적했다.
한편 시의회 예산결산특별위원회는 지난 7일 2021년도 제2회 교육비특별회계 추가경정예산안을 심사해 시교육청이 요구한 1732억원 중 164억원(9.48%)을 삭감했다. 삭감된 주요 사업은 △스마트패드 지원 71억원 △가상현실 스포츠실 구축 44억8000만원 △자동 컵 세척기 설치 25억원 등이다. 차형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