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시중은행에 이어 지방은행도 금융당국의 규제 압박에 결국 대출 문을 걸어 잠그고 있다. 금융당국이 정한 대출 관리 목표치에 거의 도달했기 때문이다. 울산지역 대표 지방은행인 BNK경남은행까지 대출 중단 대열에 합류하면서 집 계약을 코앞에 둔 시민들의 애간장을 태우고 있다.
13일 금융업계에 따르면 BNK경남은행은 지난 12일부터 전세자금대출과 주택담보대출, 일부 신용대출 등에 대한 신규 접수를 연말까지 중단하기로 했다. 일부 비대면(전세·신용) 대출은 8일부터 중단된 상태다.
구체적으로 집집마다 안심대출·집집마다 도움대출Ⅱ 등 주택담보대출과 전세자금대출(경남·울산 청년전세자금 제외), 공무원·교직원 신용대출과 직장인 플러스알파론 등 일부 신용대출 역시 중단 대상에 포함했다. 다만 BNK경남은행은 중금리 및 저신용자를 위한 상품은 중단하지 않기로 했다. BNK경남은행 관계자는 “한도 관리를 위해 개별 상품별로 대출을 중단한 경우는 종종 있지만, 이번처럼 다수 상품에 대해 대출 중단을 한 건 이례적”이라며 “가계대출 관리 차원”이라고 설명했다.
앞서 NH농협은행이 8월부터 전세대출을 비롯한 모든 가계 담보대출의 신규 취급을 중단했고, 우리은행과 SC제일은행 등도 가계 대출 상품 취급을 제한하거나 중단했다. KB국민은행은 지난달 29일부터 전세자금 대출 한도를 임차보증금(전셋값) 증액 범위 내로 제한하고 나섰다. KB국민은행에 이어 하나은행도 오는 15일부터 같은 조치를 시행할 예정이다.
시중은행에 이어 지방은행들이 신용대출 조이기에 나서는 것은 상반기 예상보다 높은 대출 증가율을 기록했기 때문이다. 5개 지방은행(부산·경남·대구·광주·전북)의 상반기 가계대출 잔액은 6월 말 기준 49조9000억원으로 지난해 말(46조3000억원) 대비 7.6% 증가했다.
이처럼 지역 대표 지방은행인 BNK경남은행 대출까지 막히자, 실수요자들이 불안에 떨고 있다.
지역 부동산 관계자는 “대출 제한으로 인한 타격은 매우 크다. 울산은 경남은행 거래비중이 꽤 높은 편인데 상당한 후폭풍이 예상된다”면서 “최근 거래 10건 중 3~4건은 대출 문제로 계약이 이뤄지지 못하고 있다. 대출부터 알아보고 가계약이라도 진행하려는 분위기”라고 말했다.
또 최근 아파트를 구입한 40대 김모씨는 “대출 가능 한도가 생각보다 너무 적었다. 신용대출까지 받고, 친인척 도움까지 받아서야 겨우 잔금을 치렀다. 다시 생각해도 아찔한 순간”이라면서 “다주택자는 그렇다 치더라도, 무주택자들의 내 집 마련까지 제한하는건 너무 잔인하다”고 호소했다.
한편 정부는 조만간 가계부채 보완 추가 대책을 예고하고 있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