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전국경제인연합회(이하 전경련)는 ‘해운산업 국제비교와 시사점’에서 지난해 1월 기준 한국의 선복량은 8058만3000DWT(순수화물 적재 톤수), 세계 점유율은 3.9%(7위)를 기록했다.
2014년 1월 기준 점유율 4.7%로 세계 5위를 차지한 한국의 선복량은 한진해운 파산 영향으로 순위가 하락한 2016년에 점유율 4.4%(7위)에도 회복하지 못했다.
M&A를 통한 규모의 경제를 확보하지 못한 가운데, 세계 7위 한진해운의 파산으로 감소했던 선복량과 노선 점유율을 아직 회복되지 못하고 있다는게 보고서의 분석이다.
그리스가 선복량 순위 1위를 질주하고 있고, 이어 일본, 중국, 싱가포르, 홍콩, 독일 등의 순을 나타냈다.
보고서에 따르면 과거 해운시장 침체 장기화 시기에 저가운임을 내세우는 치킨게임이 벌어져 원가경쟁력을 갖추지 못한 선사들이 탈락했고, 한진해운도 견디지 못하고 부도처리 되었다. 그사이 글로벌 대형선사는 M&A를 단행하는 등 지배력을 점차 강화하였고, 소수 대형 선사가 시장을 지배하는 시장 과점화가 진행됐다는 분석이다.
올해 국내 1, 2위 선사의 아시아-미주서부 노선 점유율도 2016년 11.4%에서 4.1%p 하락한 7.3%에 그쳤다.
전경련은 ‘규모의 경제’ 경쟁에서 생존하기 위해서는 국내선사의 선복량과 점유율 확대가 불가피하다고 주장했다.
이를 위해 다른 나라보다 낮은 자국 화물에 대한 국내선사의 적취율 확보가 필수적이며, 해운회사에 자본투자를 담당할 선박금융의 조성을 지원할 필요가 있다고 지적했다.
국내선사는 높은 부채비율로 금융을 이용한 선박 확보가 사실상 어려운 실정인 만큼 해운회사가 선박투자를 원활히 할 수 있도록 투자자 세제 혜택 등 선박금융 조성 지원을 강화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이와함께 실질적으로 금지되어 있는 대량화주의 해운업 진출 규제를 개선해 대량화주 또는 공공기관이 해운회사 지분 투자가 가능해야 한다고 덧붙였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