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간 증시 전망]연준 테이퍼링 관련 금리인상 시점·횟수 주목
상태바
[주간 증시 전망]연준 테이퍼링 관련 금리인상 시점·횟수 주목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1.10.1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 김재양 KB증권 울산지점 부지점장
지난 주 국내 증시는 반발 매수세와 더불어 미국 정부의 물가 상승세 둔화 발언, 바이든 대통령의 물류 대란 해소 의지 표명에 힘입어 코스피 +1.99%, 코스닥 +3.93%로 상승 마감하였다. 주간 상승업종으로 조선기계 +6%대, 철강 +5%대 상승한 반면 방송통신업종은 하락세를 기록하였다. 수급과 관련해서는 전주부터 연기금 수급이 일부 유입되며 증시 반등에 성공했는데 증시가 안정을 찾아갈수록 연기금 자금 유입 강도는 둔화될 가능성이 있다.

최근 증시 반등은 밸류에이션 매력과 악재의 완화 2가지로 해석이 가능한데 악재가 완화됨에 따라 코스피가 3000선을 다시 회복했지만 추가적인 상승을 위해서는 새로운 모멘텀이 형성되는 것이 필요하다. 밸류에이션 매력은 금융위기 이후의 흐름과 비교했을 때 코스피 12개월 선행 P/E 10.0배 수준(현재 코스피로 환산시 2880p)이 바닥으로 추정되며 따라서 2900p 수준까지 내려갔던 국내 증시는 밸류에이션 조정이 일단락된 것으로 판단된다.

현재 코스피의 가치평가는 2020년 4분기 이후 진행된 기업들의 실적개선이 완전히 배제된 바닥권 수준이라고 한다. 따라서 기업가치에 대한 평가기준이 바닥권에 달했다면 실적을 믿고 강하게 버틸 만한 이유도 충분한 것으로 판단된다. 그 동안 시장을 짓눌러왔던 중국 이슈, 테이퍼링 우려, 공급 차질 우려 등이 완화되고 있는데 이 중에서도 연준의 테이퍼링과 관련해서는 향후 주목해야 할 것이 ‘금리 인상 시점 및 횟수’ 이다. 인플레이션 우려가 계속되면서 금리 인상 시점이 앞당겨질 리스크가 있지만 경기둔화 우려 또한 계속되고 있어 금리 인상 횟수는 오히려 감소할 가능성에 시장이 주목하고 있는데 이는 장기물 금리 하락으로 최근 반영되는 중이다.

금주 증시 관련 주요 일정 및 이벤트로는 18일 중국 9월 산업생산, 소매판매 및 3분기 GDP 성장률, 미국 9월 산업생산 20일 미국 연준 베이지북 21일 국내 10월 수출입, 미국 9월 CB선행지수 22일 미국 10월 마킷 제조업 PPI 발표 등이 있다.

김재양 KB증권 울산지점 부지점장

※본 자료는 기고자의 개인의견입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