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3분기 반도체 수급난에 국내 車 생산 13년만에 최저
상태바
올해 3분기 반도체 수급난에 국내 車 생산 13년만에 최저
  • 이형중 기자
  • 승인 2021.10.18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차량용 반도체 수급난의 영향으로 올해 3분기 국내 자동차 생산량이 글로벌 금융위기 이후 최소 수준으로 쪼그라들었다.

17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KAMA)에 따르면 올해 3분기(7~9월) 국내 완성차 업계가 생산한 자동차는 총 76만1975대로, 코로나19 사태의 직격탄을 맞았던 지난해 3분기(92만1583대)에 비해 20.9%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매년 3분기 기준으로 봤을때 글로벌 금융위기로 생산량이 큰 폭으로 줄었던 2008년(76만121대) 이후 13년만에 최소치다. 국내 완성차 업체들은 1분기와 2분기에 각각 지난해보다 늘어난 90만8848대와 90만5699대를 생산하며 비교적 잘 버텨 왔지만, 올해 하반기 동남아시아 지역의 코로나19 확산 여파 등으로 반도체 부족 사태가 심화하면서 자동차 생산량이 80만대 선에도 미치지 못한 것으로 보인다.

업체별로 보면 현대차는 올해 3분기 총 35만209대를 생산해 지난해 같은 기간(41만5992대)에 비해 15.8% 줄었다. 현대차는 반도체 부품 부족으로 지난달 총 5일간 쏘나타와 그랜저를 생산하는 아산공장의 가동을 중단했고, 울산4공장의 팰리세이드 등 일부 생산 라인을 일시적으로 멈추기도 했다.

아산공장의 전기차 생산설비 설치 공사를 위해 7월 중순부터 약 4주간 휴업을 한 것도 생산량 감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분석된다.

기아는 3분기에 총 32만1734대를 생산해 지난해(34만4212대)보다 6.5% 감소했다. 이형중기자·일부 연합뉴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울산의 초가을 밤하늘 빛으로 물들였다
  • 2025을지훈련…연습도 실전처럼
  • 한국드론문화협동조합 양산서 공식 출범
  • 국정기획위원회, 국정운영 5개년 계획안 어떤 내용 담았나
  • 물과 빛의 향연…‘남창천 물빛축제’ 6일 개막
  • 태화강역 복합환승센터 개발 추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