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수출입은행 해외경제연구소는 24일 발표한 ‘해운·조선업 2021년도 3분기 동향 및 2022년도 전망’에서 올해 발주를 이끌었던 컨테이너선 투자가 내년 소강상태를 보일 수 있어 내년 전세계 신조선 발주량이 올해보다 15%가량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고 밝혔다.
보고서는 올해 전세계 신조선 발주량과 발주금액은 각각 4130만CGT(표준선 환산톤수), 965억달러(약 113조원) 규모로, 지난해(2320만CGT, 496억달러·58조원) 보다 각각 81.1%와 94.5% 급증할 것으로 예상했다.
보고서는 그러나 내년 글로벌 신조선 발주량과 발주금액은 올해보다 각각 15.3%, 10.9% 감소한 3500만CGT, 860억달러(101조원) 규모로 예상됐다. 올해 공급 증가로 인해 내년에는 자연스럽게 컨테이너선 발주가 줄 수밖에 없어 전체 발주량도 영향을 받을 것이라는 분석이다.
내년 전세계 신조선 발주량이 감소하면서 한국 조선업계의 수주량도 줄어들 것으로 보고서는 내다봤다.
보고서는 국내 조선업계의 올해 신조선 수주량과 수주금액은 1700만CGT, 420억달러(49조원) 규모로 전망한 뒤, 내년 수주량과 수주금액은 각각 23.5%, 19.0% 감소한 1300만CGT, 340억달러(40조원)로 예측했다. 김창식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