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0월 울산지역 소비자물가가 1년 전보다 3.3% 올랐다. 3%대 상승률은 근 10년만에 처음이다. 특히 국제유가 고공행진에 따른 석유값 급등과 원자재 가격 상승, 서비스요금까지 거의 모든 물가가 뛰었다.
2일 동남지방통계청 소비자물가 동향에 따르면 지난달 울산지역 소비자물가지수는 107.45(2015년=100)으로 전년동월대비 3.3% 상승했다. 2012년 2월 3.1% 기록 후 9년8개월 만에 첫 3%대 상승률이며, 2012년 1월 3.5% 기록 후 9년9개월 만에 최고치다.
울산지역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4월(2.3%), 5월(2.6%), 6월(2.6%), 7월(2.7%), 8월(2.7%), 9월(2.9%) 등으로 6개월 연속 2%대를 기록하다가 지난달에는 3%대까지 뛰어올랐다.

상품 중에서 물가 상승률을 끌어올리는 데 가장 크게 기여한 것은 공업제품(1.53%p)으로, 1년 전보다 4.2% 상승해 2012년 2월(4.4%) 이후 가장 많이 올랐다. 특히 석유류 상승률이 27.3%로 2008년 8월(27.8%) 이후 가장 높았다. 휘발유(26.2%), 경유(30.6%), 자동차용 LPG(26.6%) 등 모두 상승했다.
빵(7.6%)을 비롯한 가공식품은 3.1% 오른 것으로 나타났다.
농·축·수산물은 1년 전과 비교해 0.2% 올라 8월(10.8%)과 9월(6.1%)보다 오름세가 크게 둔화했다. 달걀(28.4%), 시금치(25.2%), 수입쇠고기(24.1%), 포도(20.5%), 마늘(17.6%), 굴(14.5%), 돼지고기(12.1%) 등은 올랐으나, 파(-45.4%), 배추(-36.8%), 토마토(-30.7%), 사과(-25.2%) 등은 가격이 내렸다.
공공서비스, 개인 서비스, 집세 등 서비스 가격도 일제히 상승했다.
특히 지난해 10월 통신비 지원 기저효과로 휴대전화료가 25.5% 오르면서 공공서비스는 6.0% 상승했다.

개인 서비스는 2.7% 올랐다. 공동주택관리비(4.9%)와 보험서비스료(9.6%) 등의 오름폭이 컸다.
집세가 2.5% 오른 가운데 전세 상승률이 3.9%, 월세 상승률이 1.5%를 기록했다.
소비자 체감지수인 생활물가지수는 1년 전과 비교해 4.9% 올라 2011년 11월(5.1%) 이후 10년만에 최대 상승폭을 보였다. 다만 농·축·수산물 가격 오름폭이 축소되면서 신선식품지수는 7.9% 하락했다.
한편 10월 전국의 소비자물가는 108.97로 지난해 같은 기간과 비교해 3.2% 올랐다. 2012년 1월(3.3%) 이후 9년9개월 만에 가장 높은 수준이다.
석현주기자 hyunju021@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