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물연대는 9일 서울 중구 민주노총 회의실에서 철도노조와 함께 기자회견을 열고 연속파업 돌입을 선언했다. 요구가 받아들여지지 않을 경우 이달 말부터 1차 총파업, 다음 달 말부터 2차 총파업을 벌일 계획이다. 화물연대는 국토교통부에 안전운임제 전면 확대 적용·일몰제 폐지를 요구하고 있다. 안전운임제는 화물차 기사의 장시간 노동과 과속·과적 등 위험 운행을 방지하기 위해 적정운임을 보장할 목적으로 도입된 제도다. 우리나라 전체 물류에서 화물차 운송이 차지하는 비중은 2019년 기준 92.6%에 달한다. 요소수 품귀로 이미 화물차가 운행을 멈춘 사례가 속속 나오는 상황에서 집단 운송거부 사태까지 빚어지면 물류난은 심각해질 수 있다.
이런 가운데 철도노조는 19일 시간 외 근무와 휴일 근무를 거부하고, 25일에는 준법투쟁과 병행하는 파업 투쟁에 돌입하겠다고 밝혔다. 철도노조의 요구사항은 전라선에 SRT 대신 수서발 KTX를 투입하고 고속철도 운영사인 코레일과 SR을 통합하라는 것이다. 철도노조까지 파업에 가세할 경우 철도 운행률 감소에 따른 교통 불편뿐 아니라 물류 차질도 우려된다.
요소수 품귀현상은 가격 폭등과 매점매석으로 이어지고 있고, 화물차·구급차·소방차 등 요소수가 필수적으로 필요한 차량의 운행 정지까지 촉발할 것으로 우려된다. 그나마 소방차나 구급차 등 필수차량에 대해서는 시민들의 기부가 잇따르고 있지만, 화물차 등 민간 피해는 속수무책이다. 요소수를 사용하는 울산지역내 영업용 및 필수 차량은 버스 113대, 전세버스 907대, 영업용 화물차 2600대, 생활폐기물 수집운반 차량 184대, 구급차 69대, 소방차 169대 등이다.
한국통합물류협회는 최근 정부에 낸 의견서에서 “요소수 부족 사태와 화물연대의 운송거부가 맞물리면 역대 최악의 물류대란이 발생할 것”이라고 우려했다. 특히 울산은 산업도시인 만큼 요소수 부족 사태로 인한 피해가 더 커질 수 있다. 정부는 하루 속히 대책을 마련하고 화물연대와 철도노조는 좀 더 유연한 자세를 가져야 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