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경제자유구역청은 정부가 지난 5일 제126차 경제자유구역위원회 회의를 개최하고, 미래 모빌리티와 미래 화학신소재, 수소·저탄소 에너지 등 3개 산업군 54개 산업분류 코드를 울산경제자유구역 핵심 전략 산업으로 선정했다고 9일 밝혔다.
미래 모빌리티 산업은 자동차·조선 등 기존 주력 산업과 4차 산업혁명 기술을 연계한 친환경·스마트화 촉진으로 모빌리티 산업의 첨단 핵심기술을 고부가화해 미래 모빌리티 산업 중심 도시로 거듭난다는 내용이다.
미래 화학신소재 산업을 통해서는 중소·중견기업 기술 개발 역량 강화를 통한 소재·부품의 다양화 및 핵심 기술 확보로 화학소재 산업 분야에 고부가 가치 미래 먹거리 창출에 집중한다.
수소·저탄소 에너지 산업은 수소 등 친환경 에너지 생태계 조성을 통한 탄소중립 선도 및 수소 등 신재생 에너지 산업의 연구 개발로 소부장 국산화 추진 등 ‘4대 에너지 브리지’ 산업을 집중 육성해 한국형 그린뉴딜 효과 극대화를 추진한다.
조영신 울산경제자유구역청장은 “경자구역을 혁신 성장을 위한 신산업 거점 기반으로 강화해 핵심 전략 산업을 중심으로 국내·외 선도 기업 유치 전략 등을 수립하겠다”고 밝혔다.
한편, 울산경제자유구역청은 이날 울주군 삼남읍 지피아이 대회의실에서 울산경제자유구역 R&D 비즈니스밸리 입주기업 7개사와 UNIST 창업기업 2개사 대표가 참석한 가운데 ‘제2회 찾아가는 현장 방문 간담회’를 개최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