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로나 이후 대기업 고용, 양과 질 모두 악화
상태바
코로나 이후 대기업 고용, 양과 질 모두 악화
  • 김창식
  • 승인 2021.11.24 00: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코로나19 영향으로 국내 대기업의 고용이 양적으로나 질적으로 모두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가운데 울산에 주요 사업장을 둔 현대자동차, 롯데케미칼, SK이노베이션 등은 고용인원을 더 늘린 것으로 조사됐다.

23일 기업분석연구소 리더스인덱스가 국내 매출 상위 500대 기업 중 분기보고서를 제출하고 비교 가능한 313개 대기업의 고용 현황을 분석한 결과 고용 인원은 코로나19 이전인 2019년 3분기 125만2652명에서 올해 3분기 123만9822명으로 1.02%(1만2830명) 감소했다.

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이 늘면서 고용의 질도 저하된 것으로 조사됐다. 이 기간 정규직은 1만8199명 감소한 반면 비정규직은 5369명이 늘어났다.

고용 감소 인원 1만2830명 가운데 남성이 33%(-4266명), 여성이 67%(-8564명)로 여성 고용 감소가 두드러졌다.

업종별로는 코로나로 관심이 부쩍 늘어난 제약·바이오(4.1%), 시중 유동성 증가의 최대 수혜자인 증권사(3.5%), IT·전기전자(3.4%), 공기업(3.0%) 순으로 고용 인원이 증가했다. 반면 대면접촉이 많은 상사(-25.1%), 유통(-10.4%), 통신(-4.8%) 업종은 고용 인원이 줄었다.

기업별로는 삼성전자의 고용 인원이 8606명 늘어 증가 1위를 기록했다. 현대자동차는 2018명, SK하이닉스 1550명, 롯데케미칼 1309명, LG이노텍 1288명 등의 순이었다.

현대자동차와 LG이노텍은 정규직은 줄고 비정규직의 고용인원이 증가하면서 전체 고용 인원이 늘었다.

고용 증가율로 보면 SK이노베이션 37.5%(+764명), 네이버 24.7%(+885명), 엔씨소프트 23.7%(+876명), 카카오 14.9%(+426명) 등이었다

반면 롯데쇼핑은 2년 새 고용 인원이 5097명 줄었다. CJ CGV 3722명, GS리테일 1826명, KT 1462명, 대한항공 1290명, 이마트 1142명 순으로 감소폭이 컸다.

사상 최대의 이자 수익을 누리고 있는 은행들도 지난 2년간 광주은행과 기업은행을 제외하고는 대부분 고용인원이 감소했다. 김창식기자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
주요기사
이슈포토
  • 대형 개발로 울산 해양관광 재도약 모색
  • [송은숙 시인의 월요시담(詩談)]류인채 ‘이끼의 시간’
  • [기자수첩]폭염 속 무너지는 질서…여름철 도시의 민낯
  • [울산의 小공원 산책하기](3)겉과 속은 달라-애니원공원
  • 장생포 수국 절정…한여름의 꽃길
  • 울산 첫 수소연료전지발전소 상업운전 시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