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호 외치는 화물연대 조합원들 [연합뉴스 자료사진]](/news/photo/202111/34246_30817_1637766655.jpg)
민주노총 공공운수노조 화물연대본부가 25일부터 27일까지 총파업에 돌입하는 가운데 울산에서도 700~1000명 가량이 울산신항 등 6곳의 거점에서 동참할 예정이다. 울산시는 물류 대란 발생을 막기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수립·시행하고 혹시 모를 상황에 대비해 경찰에 중점보호시설인 울산신항 컨테이너터미널 보호조치를 요청했다.
화물연대는 25일 새벽 0시부터 16개 지역본부별 거점에서 총파업을 진행하고 27일에는 정부·여당 규탄 결의대회를 열 예정이라고 24일 밝혔다. 울산에서는 울산신항 등 6개 거점에서 700~1000여명이 참여할 것으로 예상된다.
화물연대 울산지역본부는 오전 10시 총파업 출정식을 진행하고, 지부별로 거점지역으로 이동해 선전전을 벌일 예정이다.
지역에 등록된 화물차종사자는 1만2000명 정도이며 화물연대 조합원으로 총파업에 참여하는 인원은 최소 700여명(6%)으로 예상된다.
시 관계자는 “집회와 선전전은 내일 하루지만 파업은 27일까지 진행된다. 실제 파업 참여인원이 정확히 나오진 않았으나 전체 화물차종사자의 10~15% 가량은 참여한다고 보고 있다. 크진 않겠지만 물류 흐름에 영향이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시는 화물연대 파업에 대비해 자가용 화물차 유상운송 허가 등을 골자로 하는 비상수송대책을 수립했고 비상수송대책본부를 구성해 교통·물류 흐름이 원활하지 않을 경우를 대비하고 있다.
시 관계자는 “구·군, 화물운송협회와 유기적으로 협조해서 최대한 피해가 없도록 노력하겠다”고 밝혔다.
화물연대는 △안전 운임 일몰제 폐지 △안전 운임 전 차종·전 품목 확대 △생존권 쟁취를 위한 운임 인상 △산재보험 전면적용 △지입제 폐지 △노동기본권 쟁취 등을 정부에 요구하며 총파업에 돌입했다. 안전 운임제는 안전 운임보다 낮은 운임을 지급하는 경우 화주에게 과태료를 부과하는 제도로 3년 일몰제(2020∼2022년)로 도입됐다.
이와 관련해 정부는 화주와 운수사업자들의 부담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화물연대의 요구를 수용하기 어렵다는 입장이다.
국토부도 화물연대와 계속 대화를 시도하는 동시에 총파업으로 인한 피해 최소화를 위해 비상수송대책을 시행할 예정이다. 정세홍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