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저출산·고령화 사회에서 인구의 급격한 증가를 이끌어 내긴 쉽지 않다. 2015년 정점을 찍은 이후 끝을 모르게 추락하며 인구절벽 위기에 처한 울산도 마찬가지다. 메가시티 구축으로 부울경 동일 생활권이 형성되면 100만 인구도 장담할 수 없는 위기에 처할 수 있다. 울산연구원 정연욱 미래도시연구실장은 타 시·도로 인구를 빼앗기지 않으면서도 지역 내 인구 불균형 문제를 해소할 전략으로 “지역 균형개발은 물론 젊은 인재를 유입시킬 방안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울산 접경지 인구 유출 비상
국가포털통계 2017~2037 장래인구추계 자료에 따르면 한 때 120만명을 바라봤던 울산의 인구는 자동차·조선·석유화학 등 주력 산업 침체로 급격히 줄기 시작해 오는 2030년 110만이 붕괴되고, 2037년 105만대로 내려앉는다. 향후 5년 이내 인구 30만 장밋빛 목표를 세운 울주군조차 올해 22만5000여명에서 2037년 22만3000여명으로, 수년째 인구 증가 행렬에 승차한 북구도 22만1000명에서 21만8000명으로 줄어들 것으로 추계됐다.
반면 울산의 대표적 접경지인 양산은 같은 기간 35만9000명에서 42만명으로, 부산 기장군은 16만4000여명에서 17만8000여명으로 각각 늘어난다.
양산이나 기장의 경우 울산에 직장을 두고 출·퇴근하는 근로자가 적지 않다는 점을 고려하면 앞으로도 울산 인구의 유출 가능성이 점쳐진다. 울주군 웅촌면 고연공단의 경우 근로자 대다수가 도시개발이 이뤄진 양산에서 출퇴근하고 있고, 온산국가산단 등에서도 부산·양산 방면 출퇴근 통근버스가 적지 않게 오가는 것으로 알려졌다.
◇인구 유입 도모 전략적 접근 필요
지역 내 인구 이동에 따른 구·군간 갈등이나 인근 양산·기장으로의 인구 유출을 막기 위해선 균형 개발이 무엇보다 중요하다. 특히 인구 감소폭이 가장 큰데다 북구로 인구를 상당수 빼앗기고 있는 중구에는 장현첨단산단 및 관련 산업 집적화를 통한 양질의 일자리 창출 필요성이 지속적으로 제기되고 있다. 양질의 일자리가 생기면 젊은 인재가 유입되고 도시개발을 촉진시켜 정주여건도 개선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는 이유에서다.
타 시·도 접경지로 인구가 유출되는 문제에 직면한 울주군은 이미 형성된 산업단지 주변과 남울주, 역세권 개발이 한창인 서울주 등을 중심으로 장기적 관점에서의 정주여건 개선을 위한 도시개발 계획 수립이 시급하다.
동해남부선 개통에 대비한 역세권 개발도 필요하다. 인구 감소 문제에 직면한 남구 뿐 아니라 인구가 증가하고 있는 북구 역시 인구에 대한 전략적 대응이 없다면 광역교통망 확충에 따른 인구 위기에 처할 가능성도 있다.
탈울산 행렬이 계속되면서 복지 부서에서 담당하는 인구 관련 정책을 시정 전반을 담당하는 기획조정실에서 맡아야 한다는 목소리도 지속적으로 나오고 있다. 울산연구원 정연욱 미래도시연구실장은 “울산 내 도시개발사업이 제때 이뤄지지 못해 양산이나 기장 등으로 인구가 유출되는 문제가 생긴다”며 “구·군별 특성을 최대한 살려 젊은 인재를 끌어들일 양질의 일자리, 이들이 정주할 수 있는 환경 조성 및 교통 접근성 개선 등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