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선 외부감사 대상 전체 비금융기업 중 한계기업은 지난해 기준 17.8%로 집계됐다. 100개 기업 중 약 18개는 3년(2018~2020년) 간 영업이익으로 이자 비용조차 감당하지 못했다는 의미다. 한계기업은 최근 3년간 실적을 기준으로 판단한다. 이 비중은 2019년(15.5%)보다 2.3%포인트, 2018년(13.3%)에 비해서는 4.5%포인트 높아진 것이다.
울산의 경우 전국 최대의 제조업 도시임에도 불구하고 한계기업 비중이 16.7%에 이르렀다. 이는 17개 시도 중 10위에 해당한다. 울산의 경우 제조업 비중이 63.0%로 전국(전국평균 46.2%)에서 가장 높고, 서비스업 비중(전국평균 31.1%)은 가장 낮은 도시임을 감안하면 한계기업 비중이 매우 높다고 할 수 있다. 이 중 대다수는 음식·숙박업소로 추정된다.
한계기업이 많아졌다는 것은 지역경제 상황이 악화됐음을 의미한다. 특히 최근 기준금리의 인상으로 시중은행의 이자가 계속 오를 것으로 예상돼 한계기업의 생활고는 더욱 어려워질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지자체와 정부의 적절한 지원이 이뤄져야 할 것으로 보인다.
업종별로 살펴보면 숙박·음식업의 한계기업 비중이 지난해 45.4%를 기록해 가장 높았다. 절반가량이 한계기업으로 분류된 셈이다. 이는 숙박·음식업이 그 동안 코로나19로 인해 얼마나 큰 고통을 겪었는지를 직접적으로 말해준다. 특히 숙박업의 한계기업 비중은 지난해 기준 55.4%로 2018년(43.9%) 대비 11.5%p 늘었고, 음식점·주점업은 2018년(7.6%) 대비 10.7%p 높아진 18.3%였다.
최근 한국은행 통계에 따르면 은행권 월별 기업대출 증가액은 지난달 10조3000억원을 기록했다. 이는 2004년 통계 작성 이래 기록된 역대 10월 기준 증가액 중 사상 최대치다. 문제는 최근 한국은행의 기준금리가 인상되면서 음식·숙박업의 대출 이자가 대폭 오를 것이라는 점이다.
금융당국에 의하면 실제 영업이익으로 은행의 이자를 못 내는 한계기업은 10곳 중 4곳에 달한다. 코로나19가 갈수록 확산되고 있는 상황에서 정부와 지자체의 실효성 있는 지원이 필요한 때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