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울산시장과 박형준 부산시장, 하병필 경남도지사 권한대행은 1일 부산 벡스코에서 열린 ‘2021 대한민국 지역 대포럼’에 참석했다.
포럼은 ‘지역 분권을 위한 부·울·경의 기대와 제안’이라는 주제로 열렸다. 수도권 집중과 지역 소멸 위기에 대한 근본 해법으로 지역 분권을 제시하고, 그 방향과 과제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해 중앙과 지역의 공존 및 상생 발전 방안을 찾기 위해 마련됐다.
포럼에서는 부울경 시민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가 공개됐다.조사는 KNN이 의뢰해 (주)폴리컴이 지난 11월20~21일 이틀 동안 부울경 거주 만 18세 이상 남녀 각각 800명을 대상으로 수행했다.
‘부울경을 하나의 도시로 합치는 광역 통합도시(메가시티)’에 대한 의견을 묻는 질문에 3개 시·도 모두 시기 상조라는 의견을 제시했다. 울산이 66.2%로 가장 높았고, 경남 59.5%, 부산 55.0% 순이었다. 메가시티 출범 전 부울경 주민들을 대상으로 공감대 형성이 선행돼야 한다는 점을 시사하는 대목이다.
‘중앙 정부를 대상 꼭 관철시켜야 하는 부울경의 과제’를 묻는 질문에는 3개 시·도가 뚜렷한 차이를 보였다. 울산은 생명과학클러스터 구축 및 울산의료원 건립 등 의료복지가 35.8%로 최다였고, 부유식해상풍력 및 수소클러스터 구축(18.6%), 도시내부 순환철도망 등 교통인프라 구축(17.4%) 등이 뒤를 이었다.
반면 부산은 가덕도신공항이 28.1%였고, 교통대란 해결을 위한 도시철도 사업(15.7%), 물 문제 해결을 위한 취수원 확보(13.2%) 등의 순이었다. 경남은 서부경남 트라이포트 교통망 구축 및 G-시티 건설(23.6%), 경남형 수소경제 혁신플랫폼 구축(22.3%), 5G 기반 제조업 메타버스 구축(11.8%) 등의 순이었다.
부울경 공통 협력 분야 역시 울산은 광역교통체계, 부산은 신공항건설, 경남은 광역혁신경제권 구축 등으로 지역별 차이를 보였다.
각 시도별 선호 사업 및 협력 필요 분야의 차이가 뚜렷한 것으로 확인된 만큼 향후 사업 추진시 우선 순위 및 이해관계 조절이 필요할 것으로 관측된다.
울산시 관계자는 “부울경이 추진하는 메가시티는 통합이 아닌 업무 중심의 연합 형태인 만큼 큰 무리는 없을 것”이라며 “부울경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이 지역별 의견을 조율해 위임 사무 우선순위를 정할 것”이라고 밝혔다.
한편 부울경 특별지자체 합동추진단은 오는 20일까지 ‘부울경 특별지자체’ 기관 명칭 선정을 위한 온라인 선호도 조사를 실시한다. 부산시 누리집 내 ‘부산민원120-시민참여-설문조사’를 통해 누구나 참여할 수 있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