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일 양산시 등에 따르면 양산시는 양산선의 원활한 공사를 위해 내년도 건설비 1600억원 확보에 나섰지만, 92%인 1470억원 확보에 그쳤다. 국비 960억원과 경남도 77억원, 부산시 80억원, 양산시 353억원 등이다.
국가재정사업으로 건설되는 양산선은 공사비 5960억원 중 국가(국비)가 3576억원, 지자체(지방비)가 2384억원을 각각 부담한다.
양산선은 전체 사업 구간 11.43km 중 부산 구간이 2.1km이고 나머지는 양산시 구간이다. 이 때문에 지방비 중 양산시가 1606억원, 부산시가 390억원, 경남도가 388억원을 각각 분담하게 된다.
양산시는 2023년 양산선 준공을 위해 남은 2년 동안 3585억원(60.2%)의 예산이 필요함에 따라 내년에 1600억원, 2023년 2115억원을 각각 확보하기로 했었다.
그러나 시는 내년도 경남도(110억원)와 부산시(176원원)에 요청한 공사비 286억원 중 54.9%인 157억원만 확보하는 데 그쳤다. 내년도 예산을 포함하면 부산시는 390억원 중 218억원(55.9%)을, 경남도는 388억원 중 233억원(60.1%)을 각각 부담해야 한다.
이에 시는 부산시와 경남도에 내년도 건설비 중 삭감된 금액을 추경 등에 반영시켜 줄 것을 강력히 요청하는 등 대응에 나섰다.
공정도 문제다. 현재 공정은 28% 수준으로, 준공 2년을 남겨 놓은 상태에서 공기 부족도 우려된다. 애초 양산선은 지난해 말 완공돼 올해 개통될 계획이었다. 그러나 행정절차 이행에 3년을 보내고, 착공 이후에도 일부 구간의 시공사 선정이 늦어지면서 2023년 말로 준공이 3년 늦춰졌다. 김갑성기자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