해상풍력발전단지와 관련해 일자리가 많이 만들어지는 것은 크게 환영할 일이다. 그러나 일자리 숫자가 15만명에서 31만명으로 두배 이상 차이가 나는 것은 분명히 문제가 있다. 대단지 발전단지를 건설하고 가동하는데 15만명의 근로자가 있는 것과 없는 것은 엄청난 차이를 낳을 수 있다. 처음부터 단추를 잘못 끼우면 나중에 막대한 피해를 초래할 수 있다는 것을 명심해야 한다.
이날 보고회에서 김상락 박사는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의 500㎿ 발전단지 인력산정 기준에 근거(GWEC·2021)해 오는 2030년까지 울산 앞바다에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9GW 조성시 약 16만명, 미국 NREL의 JEDI 모델 기준 9GW 단지 조성시 31만명, 덴마크 QBIS(2020년) 산출 기준으로 9GW 단지 조성시 29만명의 인력이 필요하다고 보고했다. 일자리를 분야별로 살펴보면 부품·시스템 제조 및 조립(55.72%), 설치(10.56%), 운영 및 유지보수(27.88%) 분야가 94% 차지한다.
이처럼 일자리 규모가 큰 차이를 보이는 이유는 아직 세계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 산업이 ㎿규모의 실증만 진행 중일 뿐 GW단위의 사업화가 이뤄지지 않아 산출 근거가 부족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조립·설치 등 관련 인력은 연인원으로, 유지보수 인력은 상시인원으로 산정하는 등 기준이 제각각이다. 특히 블레이드와 터빈 등 핵심부품은 민간투자사가 국내 업체가 아닌 지정 회사의 제품을 이용할 가능성이 높아 고용 창출에서 제외해야 하는 등 실제 울산에서 발생하는 일자리 창출 규모를 파악하기는 더욱 어렵다.
따라서 해상풍력단지 건설의 효과를 높이려면 우선 정확한 일자리 규모를 파악하고 그에 맞는 인력을 양성해야 할 것이다. 만일 일자리 규모가 불필요하게 확대되거나 지나치게 축소될 경우 막대한 비용을 치러야 할 수도 있다. 울산시는 부유식 해상풍력발전단지 건설을 최고의 뉴딜정책으로 꼽고 있다. 울산연구원이 추가 연구를 통해 실질적인 일자리 창출 규모를 파악하기로 했다니 다행스럽기는 하지만 만의 하나 일자리가 과장돼 낭비로 이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