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부산과 울산 경남지역 소상공인 가운데 절반가량은 정부의 5차 코로나 재난지원금(소상공인 희망복지자금)이 매출 등 경영사정에 도움되지 않았다고 생각하고 있는 것으로 조사됐다. 또 지역 소상공인의 절반가량은 사업장 경영회복 예상 시점을 내년 상반기 또는 내년 하반기로 꼽았다.
9일 신용보증재단중앙회이 전국 16개 지역신용보증재단의 소기업·소상공인 대상 보증이용업체 가운데 총 2149개 표본업체를 대상으로 실시한 3분기 기업경기실사지수(GBSI) 보고서에 따르면 부울경(경상권) 소상공인들은 정부 5차 재난지원금의 자금사정 도움 수준을 5점 만점 평균 2.79점(전국 2.90점)으로 매우 낮게 평가했다.
세부적으로 부울경 소상공인의 45.4%(전국 43.4%)는 5차 재난지원금이 ‘전혀 도움 안됨’ 또는 ‘도움 안됨’이라고 답했다, ‘도움됨’이라고 답한 소상공인은 27.7%%(전국 33.4%)에 불과했다.
부울경지역에서 5차 재난지원금을 신청하지 않은 소상공인은 52.8%(전국 52.7%)로 전체의 절반을 넘었다. 부울경 지역 재난지원금 수령 비율은 76.3%(전국 79.4%)보다 낮았다. 반면 재난지원금 탈락한 비율은 15.6%(전국 13.2%) 전국 평균을 웃돌았다.
재난지원금 미신청 및 탈락 사유는 ‘신청조건 미충족’이 68.1%(전국 67.4%)로 가장 높았다. ‘내용을 몰라서’ 20.2%(전국 20.6%), ‘신청절차 및 서류준비 복잡’8.2%(전국 8.3%) 등의 순으로 파악됐다.
사업장 경영회복 예상 시점으로 부울경 지역 소상공인의 33.3%(전국 평균 32.9%)는 ‘내년 하반기’를 꼽았다. 이어 20.8%는 ‘내년 상반기’(전국 20.8%), 18.1%는 ‘2023년 이후’(전국 18.1%) 등의 순으로 답했다.

사업장 경영회복을 위해 가장 필요한 조치로는 ‘금융(보증 등) 공급 확대’(58.6%)가 가장 많았고, ‘사회적 거리두기 완화’(16.8%), ‘신속한
백신 접종’(16.7%) 순으로 답했다.
코로나 확산에 따른 거리두기 단계 격상으로 이동 및 영업시간 제한이 강화되는 것에 대해서는 ‘정책은 이해하지만 소상공인을 위한 대책 마련이 필요하다’는 응답이 54.8%(전국) 52.8%로 절반을 넘었다. ‘국익을 위한 어쩔 수 없는 희생’ 18.1%(전국 21.2%), ‘사업장의 자율 방역 또는 신고 하에 제한 없는 운영 필요’(12.7%(전국 11.0%), ‘일부 고위험 업종만 단속을 강화하고 다른 업종의 경우 제한 완화 필요’ 11.7%(전국 12.0%)가 뒤를 이었다.
코로나19 백신 접종이 사업장 운영 개선에 도움에 ‘도움이 된다’는 답변은 30.1%(전국 35.7%), ‘도움 되지 않는다’ 34.6%(전국 31.2%)는 답변이 더 많았다. 다만, 이 조사는 최근 코로나 확산세와 ‘오미크론’ 변이 이슈는 반영되지 않았다.
3분기 부울경지역 상시 근로자수는 평균 2명(전국 2명)으로 조사됐다. ‘5명 미만’이 88.4%(전국 89.0%)전국 로 대다수를 차지했고, 다음으로 ‘5~10명 미만’ 8.2%(전국 7.8%), ‘10~30명 미만’ 3.1%(전국 3.0%) 순으로 나타났다.
3분기 부울경지역 월평균 매출액은 ‘1000만원 이상~3000만원 미만’이 31.4%(전국 31.2%)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300만원 미만’30.1(전국 30.1%), ‘500만원 이상~1000만원 미만’17.7%(전국 18.1%) 등의 순으로 조사됐다. 김창식기자 goodg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