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수능은 국어영역에서 수험생 원점수와 평균간 차이를 나타내는 표준점수가 역대 두 번째로 높을 만큼 어려웠던 것으로 확인됐고, 표준점수 최고점자 비율은 지난해(0.04%)보다 크게 줄어 0.01%였다.
수학도 표준점수가 지난해보다 10점 올랐다. 영어는 1등급 비율이 지난해의 절반인 6%대에 그쳐 사교육 과열을 막고 도농간 격차를 줄이기 위한 절대평가의 취지가 무색했던 것으로 나타났다. 이 비율은 2019학년도 5.3%, 2020학년도 7.4%, 2021학년도 12.7%. 2022학년도 6.3%로 해마다 널을 뛰고 있다.
출제위원단과 한국교육과정평가원이 ‘예년 출제 기조’를 유지했다고 강조했고, 교사들도 각 영역이 끝나고 나서 ‘지난해 수능과 비슷하다’는 초기 반응을 보인 것과 전혀 다른 결과다.
올해 수능이 지난해 초 신종코로나 유행이 시작된 이후 공부에 집중하기 어려운 환경에서 수험생 시기를 보낸 학생들의 학습 결손을 충분히 반영하지 못했다는 지적이 잇따르고 있다.
올해 수능은 국어, 수학영역에도 선택과목이 도입되고 인문·자연계열 학생들의 성적을 함께 산정하는 문·이과 통합으로 치러졌다. 그 결과 사회탐구·과학탐구 영역에서 꾸준히 제기된 선택과목에 따른 유불리 현상은 더욱 두드러졌을 것으로 입시업체들은 분석했다. 연합뉴스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