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울산지역 일부 구·군이 지역 장애인을 대상으로 목욕 서비스를 제공할 목욕탕과 자원봉사자를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사태 장기화로 장애인 목욕 서비스 사업이 전면 중단된 올해에 이어 내년에도 사업 차질이 우려된다.
울산시는 지역 장애인들에게 목욕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내년도 예산 2억7000만원을 편성했다고 9일 밝혔다. 장애인 목욕탕으로 선정되면 매주 1차례 장애인 전용으로 운영해야 하며, 장애인 1인당 지원금은 올해 4000원에서 1000원이 인상돼 5000원으로 책정됐다. 각 구·군별로 5000여만원씩 배정된다.
하지만 장애인의 경우 낙상 등 사고 위험이 일반인에 비해 높고 휴무일에 쉬지 못하는데다 크게 수익을 거둘 수 있는 것도 아니다보니 장애인 목욕탕으로 신청하는 경우가 많지 않다.
울주군은 최근 장애인 목욕탕 모집 공고를 냈지만 신청한 곳이 1곳에 불과했다. 재공고에서도 신청 목욕탕이 1곳에 그쳤고, 추가 공고를 진행하지 않고 선정위원회를 열어 적격 여부를 판단한다는 방침이다. 장애인 편의시설 등에 있어 부적격 판정이 내려질 경우 다시 모집 절차를 진행해야 한다.
남구는 공공으로 운영되는 선암목욕탕에서 장애인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해 지난 8일부터 위탁 운영기관 모집에 나섰지만 현재까지 신청자는 없는 상황이다. 오는 14일까지 신청자가 없으면 재공고 등을 진행할 것으로 보인다. 선암목욕탕의 경우 신종코로나 사태로 지난 4월께 위탁운영자가 사업을 포기해 올해 운영 주체가 사라진 상황이다.
중구와 동구는 그나마 상황이 나은 편이다. 수 차례에 걸친 부탁 끝에 기존 목욕탕이 내년에도 장애인 목욕 서비스를 제공하기로 했다. 다만 중구는 장애인들의 목욕을 도울 자원봉사기관을 찾는데 어려움을 겪고 있다. 북구는 조만간 장애인 목욕탕 모집 공고를 진행한다는 방침이다.
일부 구·군이 장애인 목욕탕 운영자 또는 자원봉사자를 찾지 못할 경우 서비스 제공에 차질이 발생하게 된다. 특히 신종코로나 사태 이전인 지난 2019년까지는 각 구·군별로 매주 한 차례 실시하는 장애인 목욕 서비스에 적게는 100여명, 많게는 200여명이 이용했지만 지난해엔 일부 중단, 올해엔 전면 중단된 바 있다.
한 지자체 관계자는 “장애인들의 건강증진과 복지 제공 등을 위해 전액 시비를 지원받아 사업을 추진한다”며 “하지만 장애인에 대한 편견과 사고 위험성, 혜택 미비 등을 이유로 선뜻 장애인 목욕탕을 운영하겠다고 나서는 경우가 거의 없는 실정”이라고 말했다. 이왕수기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