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이 7년만에 정규직 채용에 나선다. 울산시는 수년째 이어지고 있는 인구 감소 문제를 막을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보고 중앙정부와 함께 지역 조선업 취업자들의 정착을 유도할 각종 지원정책을 추진하기로 했다.
울산시는 10일 현대중공업, 현대미포조선 및 양사 사내협력사연합회, 고용노동부, 동구와 함께 ‘K-조선 재도약, 조선업 일자리 상생협약’을 체결할 예정이라고 9일 밝혔다.
협약에 참여하는 기관들은 조선업 침체로 감소한 일자리를 신속히 회복하고 청년층 유입을 통한 장기근속 숙련기술자 양성 등을 통해 조선산업의 글로벌 기술경쟁력 유지에 앞장서겠다고 다짐할 예정이다.
시는 올해 3분기 기준 현대중공업그룹의 누적 수주액이 125억달러로 연간 목표의 140%를 넘어서면서 내년까지 5000여명의 추가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분석하고 있다.
이에 △조선업 일자리 확대 및 인력수급 지원 △근로자 정착 및 장기근속 지원 △대중소기업 동반성장 및 상생협력 △조선업 근로환경 및 복지 개선 등 4대 분야 대책을 추진해 청년 근로자 유입과 함께 정착으로 이어질 수 있도록 한다는 전략이다.
우선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은 지난 2015년 이후 중단한 정규직 신규채용과 협력사 노동자 직영 전환을 재개한다는 내용이 협약에 담겼다. 정확한 시기와 규모는 공개되지 않았지만 내년 채용을 진행하겠다고 사측이 확답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이 신규채용에 나서는 데 맞춰 노동부와 울산시는 조선업 신규채용자가 목돈을 모을 수 있도록 돕는 ‘조선업 내일채움공제’를 도입하기로 했다. 조선업 내일채움공제는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을 비롯해 조선업에 새로 일자리를 얻은 모든 이가 대상이 될 것으로 보이며 구체적인 방안은 다음주께 발표된다.
울산시와 동구는 조선업 청년·신규 취업자 주거·정착비를 지원한다. 동구는 지역 내 조선업체 고용유지지원금 사업주분도 지원하기로 했다.
노동부와 울산시, 동구는 조선업 기술훈련생 훈련장려금 지원액을 1인당 월 100만원까지로 확대키로 했다.
청년채용장려금도 정부 지원액에 울산시가 시비로 10%를 추가로 더해주는 방식으로 늘린다.
현대중공업과 미포조선은 물가와 4대 보험료 인상분을 반영해 협력사 납품단가를 적정한 수준으로 올리기로 했다. 협력사 경영안정자금과 상생발전기금 규모도 확대한다. 노동부는 조선업이 특별고용지원업종으로 지정되면서 그동안 납부가 유예된 고용·산재보험료를 업체들이 3년간 분할해서 낼 수 있도록 제도를 바꾸기로 했다.
울산시는 조선업 경영안정자금 200억원과 특례보증 75억원을 늘린다.
현대중공업과 현대미포조선 그리고 협력사들은 협력사 노동자 임금 인상을 추진하는 등 노동자 처우와 복지를 개선하는 데 노력하겠다고 약속했다.
송철호 시장은 “조선업 재도약과 지역경제 활성화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가 크다”며 “상생과 협력을 바탕으로 하는 동반성장 생태계 조성으로 조선업 경쟁력을 높이는 동시에 좋은 일자리를 만들어내겠다”고 말했다.
이왕수기자 wslee@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