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정부는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환자 급증으로 17일부터 연말까지 개인간 접촉을 줄이는 ‘범용적 대책’을 2주간 시행될 것으로 15일 알려졌다.
또한 연말연시 모임이 늘어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사적모임 규모 축소와 다중이용시설 운영시간 제한을 검토하고 있다.
정부의 이러한 방침은 신규 확진자 수가 다시 급증하면서 8000명선에 육박하고 위중증 환자도 전날보다 58명이나 늘어난 900명대 후반을 기록한데 따른 것이다.
특히 정부의 이같은 강경조치는 추가접종 등 ‘핀셋 대책’에서 더 나아가 개인간 접촉을 줄이는 ‘범용적 대책’을 실시, 코로나 확산세를 최대한 억제하고 방역·의료적 대응 여력을 재정비할 시간을 벌겠다는 전략으로 풀이된다.
구체적으로는 수도권의 사적모임 인원을 최대 6명에서 4명으로 줄이고, 식당·카페 등 다중이용시설의 영업시간을 오후 10시 또는 자정으로 단축하는 방안이 거론된다.
울산시도 이날 정부 발표에 앞서 선제적 조처로 찾아가는 검사팀 운영과 고위험시설 종사자 선제검사, 노인복지관 3차 접종자만 허용 등을 골자로 한 행정조치 85호를 발령했다.
▶관련기사 2면
김부겸 국무총리는 이날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회의에서 “정부는 현 재의 방역상황을 매우 엄중하게 보고 더욱 강력한 사회적 거리두기 강화조치를 시행하고자 한다”고 밝혀 고강도 거리두기로 회귀를 사실상 내비쳤다.
이같은 발언은 그간 가파르게 증가해온 신규 확진자수, 특히 위중증 및 사망자수 급증세에도 불구하고 ‘특단 조치’ 시행을 머뭇거리면서 상황을 지켜보겠다고 밝혀온 정부가 결국 이날 일상회복을 멈추고 거리두기 강화로 유턴을 공식화 하겠다는 의미로 풀이된다.
이같은 조치는 지난달 1일 일상회복이 시작된 뒤 한 달여, 정확히는 44일만이다.
중앙방역대책본부(방대본)에 따르면 일상회복 시행일인 지난달 1일 신규 확진자 수(1684명)와 단순 비교하면 시행 40여 일만에 7850명, 4.7배에 달하는 수준으로 증가했다.
신규 확진자가 증가하면서 위중증 환자수도 빠르게 늘어 전날 906명으로 900명대를 넘어섰고 이날 964명이 됐다. 일상회복 시행 첫날에는 위중증 환자 수가 343명이었는데, 3배가 된 것이다.
김두수기자 dusoo@ksilbo.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