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송철호 시장은 21일 시청 프레스센터에서 ‘WHO 고령친화도시 울산 실현’을 위한 노인 복지 정책을 발표했다. 송 시장은 “1960~1970년대 일자리를 찾아 울산으로 온 그 시절 ‘청년들’의 땀이 지금의 울산을 만든 만큼 이제 우리 지역 사회가 노후 불안이 없도록 잘 보살펴 드려야 한다”며 “촘촘한 돌봄 안전망을 구축해 먹거리와 추위·더위, 외로움과 걱정까지 다 내려놓고 즐겁고 활기찬 삶이 되도록 섬기겠다”고 밝혔다.
시는 2023년 고령사회, 2029년 초고령 사회 진입을 앞두고 시설 인프라와 복지 서비스 체계 고도화로 고령사회 도래에 선제 대응하기로 했다. 시의 노인 복지 정책은 △먹거리와 주거 복지 △일자리와 활력 △놀거리와 여유 △돌봄의 고도화 등 4개 분야로 구성됐다.
시는 먹거리와 주거복지 향상을 위해 경로당 무료급식과 추위·더위 고통 없는 주거환경 조성에 집중한다. 경로식당 무료급식 사업비는 전년 대비 8억7700만원 증액한 41억5500만원을 편성해 급식 단가를 2500원에서 3000원으로 상향, 급식의 질을 제고한다. 저소득 취약계층의 한파·폭염 고통을 덜어주기 위해 냉난방기를 보급하고 노인가장 가구에 냉난방비를 지원한다.
시는 소득 보장과 지역 사회 참여 기회 확대를 위해 노인 일자리와 활력 제고도 추진한다. 기초연급 수급자 노인을 대상으로 소득 보전 및 사회 참여 활동을 지원하기 위해 호랑이 순찰단 운영 등 참여형 일자리를 1000개 확대한다. 지속 가능한 노인 일자리 제공을 위해 신규 수요처를 지속 발굴하고, 인력 양성 및 구인구직과의 연계성도 제고한다.
시는 또 노년의 활동성을 지원하기 위해서는 다양한 복지시설 인프라 구축과 서비스가 필요하다고 판단, 제2 시립노인복지관 건립과 동구 노인회관 신축이전 건립 등을 지원한다.
노인들의 불편 없는 독립적인 삶을 위해 돌봄의 고도화도 추진한다.노인 기초연금을 올해 2962억원에서 내년 3287억원으로 확대하고, 지역 첫 공립 치매전담형 요양시설도 내년 6월 개관한다. 노인보호구역 지정을 확대하고 노인복지 기본조례를 개정해 노인 전용 주차공간도 조성한다.
시가 내년도 예산에 편성한 노인 복지 사업비는 총 4101억원에 달한다. 노인 기초연금 3287억원을 제외해도 다양한 분야에 814억원이 집중 투입된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