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는 22일 시청 본관 7층 상황실에서 인구정책위원회를 열고 ‘제1차 울산시 인구정책 종합계획안’을 심의 의결했다. 울산 인구는 2015년 11월 117만4051명으로 정점을 찍은 뒤 지속적으로 감소하고 있다. 시는 도시 경쟁력의 근간인 인구 문제 해결을 위해 다양한 시책을 펼치고 있지만 뚜렷한 효과를 보지 못하고 있다.
이에 시는 ‘모든 세대가 행복한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이라는 비전을 중심으로 인구정책 종합 계획을 수립하고 인구 감소 대응에 팔을 걷어붙이기로 했다. 총 사업비는 2022~2026년 5년 동안 총 3조9041억원을 투입한다.
시는 지속가능한 도시 조성, 시민의 삶의 질 향상, 인구 구조 변화 적응력 강화라는 3대 목표를 설정하고, 미래 성장 도시 인프라 구축,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 강화, 인구 변화 선제 대응 등 3대 전략과 12개 전략 과제, 76개 세부 과제를 제시했다.
우선 시는 부유식 해상풍력 발전단지 조성, 수소경제 육성, 동북아 오일가스 허브 조성 등 미래 신산업을 육성해 양질의 일자리를 창출한다. 청년 창업 연계 행복주택을 공급하는 등 맞춤형 주거를 지원하고, 교통과 문화관광 자원 인프라를 개선하는 등 도시의 기반을 강화한다.
생애 전반 맞춤형 지원 강화를 위해 맘편한 임신 통합 서비스를 제공하는 등 함께 하는 출산 환경을 조성한다. 국공립 어린이집을 연차별로 확충하고 아동친화도시 인증을 추진하는 등 아동 돌봄의 사회적 책임도 강화한다. 청년과 신중년 일자리 창출을 지원하고 안정적인 사회 서비스도 제공한다.
인구 변화에 선제적으로 대응하기 위해 노인 친화 고령자 복지주택을 건립하고 홀몸노인 종합지원 거점을 구축하는 등 활기차고 건강한 고령사회를 조성한다. 인구 변화 대응을 위한 맞춤형 인구교육을 실시하는 등 시민들을 대상으로 인구 대책에 대한 공감대를 형성한다.
울산시 관계자는 “이번 인구 정책 종합 계획은 시민의 행복과 삶의 질을 높이는 정책에 초점을 맞췄다”며 “지속 가능한 도시 발전을 위해 일자리, 산업, 주거, 교통, 문화 등 기반을 확충해 살고 싶은 도시 울산을 만들겠다”고 밝혔다. 이춘봉기자 bong@ksilbo.co.kr
저작권자 © 울산일보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